n자 유도 비감쇠계의 운동식을 행렬로 표시할 때 가속도의 항에 걸리는 행렬. 대칭 행렬로 된다.
물체가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고 발생하는 힘. 물체의 질량에 그 운동의 가속도를 곱하고, 방향을 반대로 한 힘.
비정상류 중에 두어진 물체에는 물체를 유체로 치환한 질량과 유체 가속도의 곱에 비례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비례상수를 관성력 계수라 하고, 물체의 형상 등에 따라 변화한다.
해수 흐름의 하나로서, 미소 수괴의 원심력과 지구자전에 의한 전향력이 균형을 이루는 등속 원운동을 말한다. 관성류는 자주 발생하고 존재하며 심층에서는 흔히 관측되나, 표층에서는 다른 종류의 운동이 강하기 때문에 확인하기 어렵다.
원심력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전향력은 운동방향에 대해서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남잔구는 왼쪽) 작용하므로, 관성류는 북반구에서 시계방향(남반구는 반시계방향)으로 돌게 된다. 관성운동의 반경 r은 C/2ωsinφ으로 계산되며, 여기에서 C는 접선속도, φ는 위도, ω는 지구 자전 각속도이다.
관내를 물이 항상 만류 상태로 흘러 관의 내벽 전체에 수압이 걸리고 있는 밀폐한 수로.
(1)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물이 충만하여 흐르는 수로. 상수도 수압관의 흐름이나 수력 발전의 수압관의 흐름이 이것에 상당한다. 물이 충만하여 흐르고 있기 때문에 단면의 각점에는 일정한 수압이 작용한다. (2)수송 수단의 일종으로, 오일이나 가스 등의 유체. 기체를 수송하는 관. 트럭. 열차 등의 수송에 비해 연속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대량 수송에 적합하다.
땅 속에 매설된 용. 배수를 위한 파이프. 재료는 토관. 철관. 콘크리트관. 합성 수지관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도면이 복잡하게 되었다거나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경우에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는 방법. 등간격으로 연속하는 구분의 치수, 긴 도형의 생략, 단면의 표시, 철근의 도시 등.
상수도용의 관거 이음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납소켓이음, 2) 기계이음(A, B, K이음), 3) 플랜지 이음(F형), 4) 비크트리크 이음, 5) 내면 기계이음(U형)
관의 이음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중요한 것을 들어보면 주철관으로는 [1]소켓 이음 [2]플랜지 이음 [3]메커니컬 이음 [4]빅토릭(Victaulic) 이음 등이 있으며, 강관에는 이 밖에 용접 이음이 사용된다.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으로는 [1]칼라 이음 [2]단삽구(段揷口) 이음 (faucet joint) [3]버트 이음 [4]소켓 이음 등이 이용된다. 중요한 것은 수밀성, 내구성이며 시공이 용이한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