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30/1604)

삼면이 물로 둘러싸인 땅으로서 바다 또는 호수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육지의 끝을 곶이라 하며, 갑이라고도 하지만 표준어는 곶이다. 곶은 반도보다 작은 개념이며, 호미곶·장산곶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곶에 해당한다. 육지의 일부가 침강하면 산골짜기에 바닷물이 침입하여 입강 또는 좁은 만이 되고 그 사이에 있던 산줄기는 곶으로 남게 된다.
홍조식물에서 유성생식을 거쳐 생기는 포자를 말한다.
(1)구조물의 설계 상정 하중보다 큰 작용 하중. (2)설계 또는 실험 등에서 미리 정한 하중을 초과하는 하중. excess load
철관을 땅 속에 박아 넣고, 관 속의 토사를 배제하여 콘크리트를 충전한 철관 콘크리트 구조의 말뚝을 말한다.
관의 받침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평저받침 1) 원형받침 3) 나무판 고르기 받침 등이 있다.
우물 측면에 강관 등의 관을 사용한 우물. 일반적으로 깊은 우물에 쓰인다.
토지의 농업 생산력을 영속적으로 높이기 위해 물을 조직적으로 경지에 인도하고 철저한 관리하에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급수 방법에 따라 지표 관개(월류 관개. 이랑사이 관개. 침출 관개). 철수 관개. 지하 관개 등이 있고, 또 목적에 따라 습윤. 비배(肥培). 보온 또는 병충해 예방을 위한 관개를 행한다. 또 급수하는 대상지에 따라 논. 밭. 과수원. 목초지 등에 대한 관개로 구분할 수 있다.
관개에 공여되는 물. 용수원으로서 하천, 호수, 저수지, 지하수 등이 있다.
용수(用水)를 끌어들이기 위하여 설치된 둑.
작물에 유용하게 이용되는 물의 양에 대하여 관개에 공급된 수량의 비(%). 경작지에 관개하려면 관개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작물의 근역(根域) 이상으로 물을 공급하면 관개 효율은 떨어진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