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펌프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의 종료시에 수송관 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작업. 볼 모양. 접시가 붙은 원통상의 청정구를 물 또는 공기로 관 속을 압송함으로써 행해진다.
파이프를 통해서 대량의 유체를 연속적으로 수송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도시 가스, 석유, 수도 등의 수송에 사용된다.
석유. 가스 등을 먼 곳으로 보내기 위해 설치한 관.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콘크리트를 친 후 콘크리트의 온도를 억제시키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묻은 파이프 내부에 냉수 또는 찬공기를 보내 콘크리트를 냉각시키는 방법
구조물의 상. 하류의 수위차에 의한 수압에 의해서 기초지반을 물이 침투할 때 물과 함께 잔입자가 이동하여 텅비게되어 파이프 모양의 물길이 서서히 형성되어서 기초지반이 유동화하는 것을 말한다. 파이핑현상이 생기면 구조물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1) 물이 땅속을 흐르면 땅 속의 약한 부분으로 물의 흐름이 모이고, 마침내 부근의 지반을 세굴(洗掘)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물의 통로를 만들고 그곳으로부터 내부의 흙이 세굴되어 파이프 모양으로 구멍이 뚫리면 그 구멍에 따라서 흐름이 강해져 점점 구멍을 크게 만들어 가는데 이것을 파이핑이라 한다. (2) 급배수 및 냉온방 등을 위해 관을 부설하는 것.
토층중에 물이 흐를 때 유속이 어느 일정한 값(한계유속)보타 커지면 토층을 구성하는 토립자의 일부를 밀어내어 토층 안에서 물이 맥을 이루어서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탄화 규소, 알루미나, 실리카 등 정제된 인공 원료를 써서 어떤 특정한 기능을 최대한으로 얻기 위해 만들어진 재료. 내마모재, 내식부재, 투수성 재료로서 쓰인다.
금속 복합 재료에 사용되는 내열성, 강도, 내식성과 같은 특정한 기능을 높인 강재의 총칭.
2개 이상의 말뚝이 한 무리로 되어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의 말뚝. 개개의 말뚝이 서로 영향하므로 파일 그룹의 효과에 의한 저감을 고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