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파가 밀어 닥치는 높이나 물결이 넘치는 양을 줄일 목적으로 바닷가의 호안에 설치한다. 곡선의 난간은 직립의 경우에 비교해서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바람이 불 때는 그 효가가 적어질 우려가 있다.
(1) 작은 물결과 큰 물결. (2) 어수선한 사단(事端)의 비유 (3) 일이 단조. 평범하지 않고 기복(起伏), 변화가 있음.
파도의 높이나 주기를 측정하는 관측 장비이다. 파고계라고도 한다. 연안의 파도는 표면파의 고저를 해저에 설치한 수압부에서 압력변화로 기록하는 수압식 파랑계나 해중이나 공중에서 초음파를 발신하여 그 반사해 오는 시간차로부터 파고를 구하는 초음파식 파랑계, 전극이 들어 있는 막대를 수면에 세워 파도의 오르내림이 전극을 적시는 것으로 전압변화가 파형으로 나타나는 계단저항식 파랑계 등이 있다. 파도가 가진 에너지나 파장·파속 등은 파랑의 연속기록으로부터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해안이나 항만 구조물에 작용하는 주요한 외력의 하나이다. 물결의 특성 및 구조물의 모양이나 설치하는 수심 등에 의해서 그 크기나 장소 및 시간적 분포상태는 변화한다.
방한제 등 해안 구조물에 직접 설치하여 이것에 작용하는 파도의 압력을 측정하는 기계. 용수철석. 액체식. 변형계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파도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력을 얻어 발전하는 방법이다.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인 회전운동 또는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킨 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파력발전에 관한 연구는 미국, 일본, 영국, 노르웨이 등 여러 나라에서 수행하였으며 현재 약 50여종의 파력발전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소형 파력발전 부이는 개발되어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파속/풍속을 파령이라 한다. 파령은 파의 성장과정을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1/3이하인 파령은 파고가 파장보다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파형구배가 급속히 증가하고, 1/3~4/3의 파령은 파고의 증가는 그치지만 파장이 증가하기 때문에 파형구배는 감소하며, 4/3이상의 파령은 파형구배가 거의 일정한 너울을 의미한다.
손상한 파면의 관찰에 의해서 균열이 어떤 응력하에서 생겼는가를 살피는 검사.
용접 금속이나 모재의 파면에 대해서 파괴의 발생 위치, 전단 파면과 취성 파면의 분포 상황, 용접 결함의 유무 등을 살피는 시험을 말한다.
정상파에서 음압 또는 입자 속도의 진폭이 최대로 되는 곳. 이것은 점, 선, 면인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