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높은 시점에서 아래쪽을 내려다 보아서 얻어지는 시계의 열린 경관 혹은 전경. [2] 차례로 벌어지는 광경, 회전 그림.
배경화(背景畵)의 양 갓을 붙여 둥그렇게 세워서, 그 가운데서 보면 실지 경치를 보는 느낌을 주는 장치. 아주 가까운 데는 실물이나 인형을 사용함.
부재가 외력, 특히 인장력을 받아서 절단되는 것. rupture
레일의 이음부에 생기는 훼손으로서 주로 이음매 볼트 구멍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을 말한다.
건조물 부재나 물건을 전부 나타낼 필요가 없는 경우 절제한 곳을 나타낼 때 쓰는 선.
파랑이라고도 하며, 바람이 해면에 불 때 생기는 풍파와 어느 해역에서 발생한 풍파가 바람이 없는 다른 해역까지 진행, 감쇠하여 생긴 너울을 총칭하여 파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풍랑은 마루가 뾰족하고 파도와 파도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짧지만, 너울은 마루가 둥글고 간격이 길다. 파랑의 성격을 나타내는 요소로서는 파고, 파장, 파주기, 파속, 파향 등이 있다.
풍파가 연안에 접근하여 수심이 파장의 반 이하인 얕은 곳으로 오면, 밑바닥의 영향을 받아 파고, 파장, 파주가 등에 변화가 일어나며 쇄파가 된다. 파도는 물입자의 운동이 표면 근처에만 미치므로 조석처럼 그 운동이 깊은 바다까지 미치는 천해파에 대해서 심해파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