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섬유(纖維). 가는 뿌리. (2) 철모 밑에 받쳐 쓰는 모자. (3) 스태이플 파이버
댐의 매스 콘크리트가 경화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그 후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수축으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또는 이음 그라우트를 하기 직전, 매스 콘크리트를 식혀서 이음의 벌어짐을 크게 함으로써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댐 콘크리트 내부의 각 리프트면 위에 지름 1 정도의 강관을 1 ~ 2m간격으로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중 또는 이음매 그라우트 직전에 파이프 내로 물이 흘러 댐 콘크리트를 식히는 공법. - coolin
관 등과 같이 주위가 매끄러운 것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사용하는 공구를 말한다. 무는 부분이 V형으로 톱니 모양의 이가 있어 관을 깨물도록 되어 있다. 관을 돌려 연결하는 관이음, 기타의 부속품에 나사박기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강관수평압입공법 또는 아아머(armor)공법이라고도 한다. 방법의 개략은 터널의 굴착에 앞서서 강관을 수평으로 터널의 주위에 사전에 삽입하여 강관을 세로방향의 널말뚝으로서 이것을 지보공으로 지지해서 굴착을 하는 것이다.
보조 공법의 하나로, 흙덮이가 얕고, 상부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나 연약 지질의 개소에서 지보공의 바깥쪽을 보링하여 강관의 85 ~ 200mm 정도를 삽입하여 파이프의 열(列)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키고, 굴착과 동시에 파이프를 지보공으로 지지하면서 굴착하는 공법.
파이프 지주를 거푸집 지보공의 지주로서 사용할 경우는 1) 파이프 지주를 3개 이상은 연결하지 않는다. 2) 파이프 지주를 연결할 때는 4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 철물에 의한다. 3) 높이가 3.5m 이상일 때는 높이 2m마다 수평연결을 2방향으로 만들고 또한 수평연결의 변위를 방지한다.
댐 콘크리트는 타설한 후 수화열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매설한 전봉강관(Φ25.4, 1∼2m간격) 등에 냉각수(유속 0.6m/sec, 유량 16ℓ/min)를 일정한 기간을 통하여 콘크리트에 대한 온도를 관리하는 공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