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면에 있는 물질이 해파의 운동 때문에 교란되는 최대 깊이를 말하며, 보통 반파장의 깊이가 파한이다. 파저면이라고도 한다.
파도가 내습하는 방향인데 16방위로 나타내게 되는데 북에서 잰 도수로 표시한다.
파가 진행하여 가는 방향을 말한다.
파가 진행하는 방향. 연안에서의 파향을 파악하는 일은 내습하는 파의 발생역(發生域)의 추정, 표사 방향의 추정 또는 방파제, 도류제 등 해안 구조물의 위치나 방향을 결정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파향의 측정은 원칙적으로 아래의 한 항목 이상을 선정하여 관측한다. [1] 트랜싯 : 목측(目測)에 의한 방법으로 정밀도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2] 정치식 파향게 저항선 변형계형 : 자기계로서 개발된 것. [3] 해상 관측용 레이더 : 가장 간단하며 정확한 데이터가 얻어지지만 기상 조건에 따라 관측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파도 진행방향의 단면 형상을 말한다.
파형 주름이 잡힌 얇은 강판 파이프로, 경량이면서도 분할하여 운반. 조립할 수 있어 시공이 간단하고 암거(暗渠)나 가설 수로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함석판처럼 그 형상에 따라 외력에 저항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이프 전면에 토압이 균일하게 걸리도록 기초나 백 필링(backfilling)의 시공에는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
파장 L과 파고 H와의 비 H/L. 파형 물매는 쇄파 등의 파의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