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가 파괴할 때의 응력 상태 혹은 변형 상태를 다루는 이론. - plastic theory
부재 혹은 구조물이 파괴할 때의 하중. - ultimate load
부재나 지반 등에 서서히 하중을 늘려 그들이 파괴할 때의 최대 하중. 종국 하중. 극한 하중이라고도 한다.
구조물 혹은 구조 부재가 하중을 받아 파괴하는 경우의 파괴의 종별. 예를 들면, 인장 파괴, 압축 파괴, 휨 파괴, 전단 파괴와 같이 파괴의 주원인이 되는 응력의 종류로 분류한다.
(1) 구조물이나 부재의 파괴 양상에 따라 분류한 형식. 휨 파괴형. 전단 파괴형 등 파괴시의 지배 응력에 의한 분류와 연성 파괴. 취성 파괴 등 재료의 성질에 의한 분류가 있다. (2)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파괴에 의해 형태를 잃을 때의 형식. 휨 붕괴형. 전단 붕괴형 등이라 하여 구별한다.
설정한 파괴의 기준을 넘는 확률. 일반적으로 하중 효과가 내력을 웃도는 확률로서 나타낸다.
(1) failure (2) fracture
[1] 파괴가 생긴 면. [2] 재료 혹은 부재가 파괴할 때의 응력도 혹은 응력의 상태를 나타내는 응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