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367/1604)

- drain trap
직선 부재가 각각 3각형의 힌지로 접합되고 조합된 구조. 실제의 트러스의 접합부는 강접합(剛接合)이지만 역학 계산에서는 힌지로 생각한다.
목재. 강재 등의 단재(單材)를 핀 접합으로 세모지게 구성하고, 그 3각형을 연결하여 조립한 뼈대. 각 단재는 축방향력으로 외력과 평형하여 휨. 전단력은 생기지 않는다. 형식에 따라서 명칭이 붙여진다.
조립주로, 웨브가 경사재에 의해 래티스 모양으로 짜여진 것.
기둥. 보 등이 트러스 형식으로 되어 있는 라멘.
랭거 거더(특히 하로 형식)의 수직 현수재를 닐슨 형식으로 치환한 형의 교량. 이 현수재에는 압축력도 생기기 때문에 로프는 사용되지 않는다.
목재. 강재 등의 단재(單材)를 핀 접합으로 세모지게 조립한 트러스 구조의 조립보. 스팬이 크고, 단일재로는 단면이 커져서 불경제적으로 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교량 거더 보강법의 하나. 핑크(Fink) 보강이라고도 한다. 기존의 플레이트 거더에 항장재(抗張材)와 지지재(支持材)를 첨가하여 이것을 하나로 만든 트러스 빔이라고 하는 방법으로서 재하중에도 시공이 가능하다고 하는 장점이 있으나 거더 아래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 보강재는 계속 응력을 측정하면서 소정값까지 인장을 해야 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것에는 킹 포스트식과 퀸 포스트식이 있으며 전자는 일반저으로 10m 이하에, 후자는 10 ~ 20m
트러스를 구성하는 지주(支柱).
트러스를 메인 거더로 사용한 것을 트러스교라 한다. 트러스 부재가 모이는 절점(節點)은 계산상으로는 모두 힌지로 가정한다. 따라서 트러스는 그 대부분이 축력(軸力)부재이다. 트러스교에도 상로(上路) 트러스, 중로(中路) 트러스, 하로(下路) 트러스가 있으며, 60 ~ 100m 지간에서는 트러스가 가장 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트러스의 형식에는 하우 트러스, 플랫 트러스, 워런 트러스 등이 일반적이며, 횡구(橫構) 등 2차적인 구조 부분에는 K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