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에 따라서 물이 잘 통하는 것과 그와 반대일 경우가 있으나 그 정도 즉 투수계수를 조사하는 시험을 투수시험이라 한다. 양압력의 산정, 배수방법의 선정, 끝마침공사의 재료, 샌드매트(sand mat)의 재료를 선정할 때 등에 한다.
주변의 지층과 비교하여 지하수를 통과하기 쉬운 지층. 모래층이나 모래. 자갈층인 경우가 많고 체수층(滯水層)이기도 하며 지하수의 취수원으로 이용된다. 불투수층은 점토층이나 실트층 등의 지하수가 통과하기 어려운 층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지하수의 통과 용이성은 투수 계수로 평가되며, 투수 계수가 10-3cm/s 정도 이상이면 투수층이라 생각해도 좋다.
흙입자간의 틈이 크고, 물을 통하기 쉬운 지층. 사질토층이 이에 해당한다.
배수나 처리수의 맑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투시도계의 상부에서 투시하여 저부(底部)에 둔 표지판의 이중 십자가 처음으로 명백하게 식별할 수 있는 수층(水層)의 높이를 읽어 1cm 를 1도로 하여 나타낸다.
물체를 한 점에서 보아 화면에 투시한 그림. 원근감이 나타나며, 완성 예상도 등에 응용된다.
물의 투명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투시도계의 상부에서 투시하여 저부에 둔 2중 십자 표지판이 비로소 식별될 수 있을 때의 수층(水層)의 깊이를 판독하여 1cm를 1°로 나타낸다.
광원에서 발사되는 광선을 사진 건판(乾板)에 대고 렌즈를 통하여 투영면 상에 사진의 상(像)을 투영하는 기계.
투영도법에 의해 투영면상에 얻어지는 그림.
입체형을 도면상에 표현하는 방법. 시점의 위치에 따라 나누면 평행 투영법과 중심 투영법의 두 종류가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예산을 편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업의 필요성, 사업계획의 타당성 등에 대한 지방재정법에 기초한 지방재정 투・융자 사업심사를 거쳐야 함 투・융자 사업심사는 지방자치단체가 투자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투자사업의 우선순위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중기재정계획에 반영된 사업을 대상으로 투자심사위원회 구성 등을 통해 심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지역주민, 지방의회의 공개 등을 통해 주민의 의견이 수렴되도록 하여 심사의 내실을 기하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