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흙의 투수성을 살피는 시험. [2] 다공질의 재료 속에 물이 침투해 가는 속도를 살피는 시험. 건축 재료에서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에 압력수를 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재료에 침투한 수량을 측정한다.
필형 댐에 있어서 주로 둑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을 말한다. 간극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수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한다. 비교적 잔(세립) 재료를 둑 안쪽에, 굵은(조립) 재료를 바깥에 쌓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위 시간에 단위 단면적 중에서 단위 동수구배의 흙의 틈사이를 침투하는 물의 유출속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굵은골재의 사질토층에서는 투수계수가 크고, 잔골재의 점성, 토층에서는 적어, Qk×p의 관계가 성립한다. Q : 단위면적 당의 투과량, p : 더하는 압력, k : 계수. 사토중의 침투량에 관한 공식은 Darcy의 법칙에 따라 QνAk×i×A(Q : 흙의 단면적 A를 단위 시간에 흐르는 침투유량(㎤/sec), ν : 침투류의 유속(cm/sec
시멘트 방수제의 규격 시험에서 일정 조건으로 만들어진 표준 모르타르의 투수량에 대한 시험 모르타르의 투수량의 비를 말한다.
토층내에 물이 침투하는 성질이다. 토립자의 형상이나 공극비 또는 물의 점성 등에 의해서 투수성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투수계수 k(cm/sec)에 의해서 흙에 대한 투수성의 대소를 나타낸다. 이 때의 침투수량 q는 달시(Darcy)의 법칙에 따라 qkiA( i : 동수경사, A : 단면적)로 주어진다. 자연상태에 있는 흙의 투수계수에 대한 가늠은 도상밸라스트 정을 참조하라.
퇴적층에서 물이 잘 통과되는 정도를 말한다. 투수성은 공극의 크기에 좌우되며 분급이 잘 안되고 세립질인 퇴적층은 낮은 투수성을 가진다.
중력에 의해 흙 속을 이동하는 지하수의 흐름 용이성. 흙의 투수성의 양부는 투수 계수로 표시한다.
재료가 물을 통과시키는 성질.
주로 보도에 적용되는 포장으로, 빗물을 노반 이하로 침투시키는 개립도(開粒度) 타입의 포장. 포장의 종류에는 아스팔트계의 것과 콘크리트계의 것이 있다.
강우에 의한 물을 지중에 환원함으로서 배수시설의 부담을 줄이고, 지하수위의 저하를 막을 계획과 표면수에 의한 하이드로푸레이닝(hydroplaining)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하는 포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투수계수 10-1∼10-3cm/sec의 개입도 아스콘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