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포장의 시공에서 거푸집 위치에 운반된 콘크리트를 거푸집 속에 박아 넣으면서 포설하는 기계. 콘크리트 피니셔의 준비 작업을 한다.
도로포장공사에 있어서 노반 위에 내려놓은 콘크리트를 널리 펴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계이다. 박스(box)형, 스크루우(screw)형, 브레이드(blade)형의 3형식이 있다. 시공하는 나비에 따라서 소형(2.5∼4.5m)과 대형(3.0∼7.5m)이 있다.
시멘트, 골재, 급결재, 물 등의 스프레이 재료를 고압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을 통해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보내고, 선단의 노즐로부터 나오는 고압 분사 에너지에 의해 격돌. 부착시키는 기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비탈면 보호, 터널 공사 등에 이용된다.
굳어진 콘크리트의 강도를 시험편(試驗片)의 채취나 구조물의 파괴를 수반하지 않고 측정하는 비파괴 시험기계. 내포된 추의 스프링 반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한다. Schmidt concrete test hammer
사석공에서 적당한 큰돌을 구할수 없는 경우에 이용하는 콘크리트 블록이다. 모양과 형태 또는 치수를 연구하여 블록 사이에서 맞물리는 형편과 혹은 쌓는 방법을 고려해서 토사에 대한 앙금의 유치나 파도에 대한 방비를 한다.
KS F 2405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대한 시험방법에 의한 콘크리트의 강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구조물에 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지름 15cm, 높이 30cm의 원주 공시체를 28일간(댐 콘크리트에 관해서는 91일간) 표준양생 한후의 강도(kg/㎠)를 기준으로 한다.
콘크리트 타설 후 그 경화 작용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작업. 즉, 일광. 풍우 등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노출면을 보호하는 것, 충격이나 과대한 하중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 충분한 습도나 온도를 주는 것 등이다. 습윤 양생, 막양생, 증기 양생, 전열 양생 등이 있다.
1) 그날의 일을 시작하기 전에 성형 지보공에 대해서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곧바로 보수한다. 2) 타설작업 중에 성형 지보공에 이상이 인정될 때의 작업중지를 위한 조치를 미리 강구해 둔다.
콘크리트를 절단하는 기계. 시험체를 발취하는 작업 등에 사용되는 것은 철근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다. 콘크리트 포장의 민줄눈 시공이나 보수용으로 사용하는 종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