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을 덮는 공사의 하나인데 이공법은 돌쌓기 공사 대신에 콘크리트의 2차 제품을 사용하므로 숙련공이 필요하지 않고 공기도 비교적 짧다. 현재는 석축공사 대신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포장에 이용하는 것은 대개 보도용 평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특별한 경우로서 교량 부착부의 포장을 흙쌓기가 안정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콘크리트 블록 포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1) 보차도(步車道)의 경계를 만들기 위한 콘크리트 경계 블록과 하천 호안이나 굴착 비탈면의 방호 등에 쓰이는 콘크리트 적재 블록이 있다. (2) 파력(波力)을 받는 경사 구조물의 표비탈면(表法面)을 피복하여 소파(消波) 역할을 하는 것으로 테트라포드(tetra pod), 아크몬, 할로스퀘어, 중공 3각 블록, 6각 블록 등이 있다. 특히, 테트라포드는 소파 효과가 양호하며 이것만으로 건설되는 테트라포드 방파제도 있다.
대개 호안의 기초 다지기 공사에서는 일반적으로 2∼3층의 층쌓기를 하게 되는데 만곡부 등의 국부적으로 세굴되는 수심이 깊은 곳은 사입공법 이른바 난적이 이용된다. 쓰이는 블록에는 중간이 빈 3각블록, 6각블록, 3연블록, 3주블록, 호로우스저 등이 있다.
사면의 보호와 안정을 목적으로 콘크리트의 기성제품을 표면에 덮어(cover all over)까는 공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45°보다 완만한 경사의 사면에서는 불량한 흙을 없애고 정형하여 모래나 부순 돌을 고루 깔고 블록에는 배수 구멍을 만들어 깔아놓는 것인데 콘크리트 블록의 안정을 위해 비탈진 끝에 기초 콘크리트를 하거나 사면 중간에는 미끄럼 방지를 만든다.
콘크리트의 블록을 사용한 수제인데 형상, 치수, 투과도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주로 큰 하천의 급류부분에 이용한다. 종류에는 3기공. 4기공을 이용한 것과 원주. 각주의 기둥(post)을 늘어놓은 포스트수제와 피스톨(pistol)수제 등이 있다.
콘크리트를 비빌 때 사용하는 강판을 말한다.
콘크리트의 강도나 결함. 균열 등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하는 방법. 시미트 해머, 초음파 등을 사용한다.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사용하는 배처 플랜트(batcher plant) 장치로, 각 재료를 넣는 빈.
1륜차, 2륜차, 콘크리트 타워, 콘크리트 펌프, 트랜싯 믹서(transit mixer) 또는 트럭 믹서, 애지테이터 트럭(교반 트럭) 등을 가리킨다. 또한 트랜싯 믹서나 애지테이터 트럭은 배처 플랜트로 합계량, 비빈 콘크리트를 트럭으로 운반하면서 비비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