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교(木橋)의 난간 부분 정부(頂部)에 있는 횡목(橫木). 또는 새집이나 문 등의 위에 걸치는 횡목. [2] 콘크리트 옹벽 등의 정부(頂部)의 단면을 일부 크게 하여 이것을 덮도록 만든 부분으로 형틀의 부정(不整) 등에 의한 콘크리트 전면이 다소 고르지 못함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경관면에서 구조물의 화장용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강널말뚝 호안 등에 있어서는 이외에 널말뚝 상단부를 붙잡아 줌으로써 이음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도 기댈할 수 있
사운딩에 의해 얻어지는 점성토 지반의 강도를 나타내는 계수. 10 이상이면 노상(路上)으로서 안전, 3미만이면 노상으로 사용할 수 없다. cone bearing capacity
선단이 원뿔 모양인 로드를 지반 속에 정적으로 밀어 넣었을 때의 콘(원뿔상 선단부) 저면적당의 관입 저항값을 말한다. 점성토의 1축 압축 강도나 전단 강도와 상관성이 있으며, 콘 관입 시험에 의해 구해진다. cone index
원추형의 외통과 내통을 압착하여 원추 접동면의 마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부하 상태에서도 착탈되고 소음도 없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1) 정전 용량을 이용할 목적으로 만든 장치. 종이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 전해 콘덴서. 바리콘 등이 있다. (2) 광선을 임의의 방향으로 굽히는 목적만을 갖는 렌즈 또는 반사경. 망원경의 대물 렌즈의 초점 부근에 놓으면 광속(光速)을 축소하여 다음 렌즈의 구경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밖에 현미경, 영사기 등에도 이용된다.
토지를 공유하는 뜻. 분양 맨션과 같은 뜻이다.
강철제의 권척(卷尺: 줄자)으로, 테이프가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휴대형 소형 권척(卷尺). 만곡면이 있는 띠강이기 때문에 신직성(伸直性)이 있으며, 소형. 경량이다. 2 ~ 5m의 것이 많으며, 종래의 접자를 대신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속에 매입된 정착판이 인장되는 경우 등에 정착판 주변에서 약 45°의 면을 따라 생기는 콘크리트의 파괴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