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290/1604)

올 케이슨공법에 쓰이는 공벽의 보호와 굴진을 겸한 공구이다. 케이슨튜브는 공벽의 보호에 소용됨과 동시에 요동시키므로서 굴진하는 목적에도 쓸모가 있다.
뉴우마틱 케이슨 공법에서는 작업실이 고기압이 되어 있어서 이 안에서 굴착작업을 하므로 일하는 사람이 상압 또는 고압의 변화에 즈음하여 신체에 이상이 일어난다. 이것을 케이슨병이라 한다. 케이슨병은 가압보다는 감압시에 일어나기 쉬우므로 고기압의 작업에는 적절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케이슨야아드에 있어서 육상에서 제작한 후에 예항에서 바라는 곳에 침설시켜 토사나 물 또는 콘크리트로 안을 채워 외력에 저항시키는 것이다. 구조물로서는 안전해야 하고 선박의 충격력에도 강해야 하는데 무엇보다 좋은 지반을 선택해야 한다.
직립제(直立堤) 또는 혼성제(混成堤)의 방파제에 직립 벽체로서 케이슨을 이용한 것. 내파성(耐波性)이 강하고 케이슨 중힐 재질(中詰材質 : 속을 채우는 재료의 질)을 저하하여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시공이 확실하다. 그러나 케이슨 제작 설비에 비용이 많이 들고 또 황천(荒天) 일수가 많은 경우에는 시공 일수가 현지히 제약을 받는 등의 단점이 있다.
미리 사석을 쌓아 올린 사석마운드의 흙에 다른 곳에서 만들어 예항해온 케이슨을 침설시켜 안을 채우고 덮개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에 케이슨의 앞뒷면에 기초 블록 등을 깔아서 건설하는 방파제이다.
보링이나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 작업시 굴착 중인 구멍의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벽의 구멍에 따라 박아 넣는 튜브이다. 일반적으로 구멍 굴착이 끝난 후에는 빼내지만 그대로 매입해 버리기도 한다.
보링을 할 때 천공한 측벽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측벽에 박아넣는 강관 또는 박어넣는 것.
제도에 사용하는 두꺼운 용지. 제도 용지의 크기는 원칙적으로 A0 ~ A6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우 원그림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A0을 절반으로 자르면 A1크기로 된다.
어스 드릴 및 리버스 서큘레이션 굴착기의 굴착용 버킷을 회전시키는 각형 단면의 막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 시험 방법의 하나. 지름 6인치의 주철제 반구(半球)에 눈금이 매겨진 막대를 붙인 것이며, 전체 중량은 30파운드. 이것을 흙손으로 끝손질한 콘크리트면 위에 조용히 놓고,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구하여 컨시스턴시의 척도로 한다. 콘크리트의 깊이가 15cm 이상, 면적의 최소 치수가 30cm 이상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