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지반이 연약해서 사다리 동목기초에 의해서도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없을 때나 관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서 관자체의 내력이 부족한 경우 등에 이용된다. 깬돌 또는 직경이 15cm 정도의 둥근 돌을 채운 다음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댐의 매스 콘크리트는 경화시에 열을 발생하고 경화 후 식으면 수축한다. 이 수축에 의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미리 콘크리트 재료를 냉각하거나, 콘크리트를 비빌 때 얼음을 섞거나, 콘크리트 속에 파이프를 매설하고 통수(通水)함으로써 경화열 발생시에 파이프 냉각을 하여 경화시 콘크리트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이것을 1차 냉각이라 한다. 또한 이음매 그라우트를 하는 경우 파이프 냉각에 의해 콘크리트를 냉각 수축시켜 그라우트가 들
직립제(直立堤) 또는 혼성제의 벽체에 콘크리트 단괴를 사용한 구조로서 규모가 작은 경우 이외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단괴에 프리팩트(prepacked) 콘크리트를 사용한 것이 있으며 이 경우는 규모가 큰 방파제에도 이용될 수가 있다.
수제 공법에서 침상의 일종. 콘크리트 블록에 2개의 구멍을 뚫고 철선을 넣어 발과 같이 짠 것. 이것으로 경사면을 피복함과 아울러 그 끝을 상당한 수심까지 연장하여 밑다짐에 겸용시킨다.
콘크리트를 댐 본체 재료로 하는 댐의 총칭. 설계 이론에 의하여 중력 댐. 중공 중력 댐. 아치 댐. 부벽 댐 등으로 분류된다. 콘크리트 댐 외에 토석을 댐 본체 재료로 하는 필 타입 댐이 있지만 경제성. 안정성. 신뢰성 또는 시공의 용이성 등의 점에서 콘크리트 댐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갈 또는 부순돌을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로 만든 도상. 터널 속, 건널목 부분, 배수가 나쁜 구간, 차량 세정선 등에 이용된다. 보수비가 경감되고, 궤도 이상이 적으며 배수는 양호하다.
콘크리트 작업에 사용하는 막대형의 진동기. 콘크리트 내부에 꽂아서 사용하고 직경 100mm 이하의 막대형 진동체를 갖는 것.
기초공사에 쓰이는 콘크리트제의 말뚝을 콘크리트 말뚝이라 한다. 콘크리트 말뚝에는 RC말뚝(철근 콘크리트 말뚝)과 PC말뚝(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 : prestressed concrete)의 두가지가 있다.
콘크리트로 성형된 말뚝으로, 지하 수위가 낮은 곳이나 건습차가 큰 곳에 쓰인다. 내구성이 크고, 임의의 길이와 임의의 단면적으로 만들 수 있다. 기성 콘크리트 말뚝과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이 있으며, 나무 말뚝과 이어서 합성 말뚝으로 하기도 한다.
모래, 자갈, 시멘트, 물 그 밖의 재료를 섞어 비벼서 생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기계. 섞어 비비는 방법에 따라 중력식, 강제 혼련(混練) 방식이 있다. 중력식은 수평축 또는 약간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드럼을 회전하여 그 속에서 비빈다. 다 비빈 제품을 꺼내기 위해 드럼을 약간 기울이는 것을 경동식(傾胴式), 그 위치에서 그대로 슈트를 통하여 꺼내는 것을 불경식(不傾式 :드럼 믹서)이라 한다. - turbomix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