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工期)내에 공사가 완성하도록 미리 면밀하게 시공 순서. 방법. 진행 등을 계획하는 것.
공사를 공사 기간 내에 완성하기 위해 공사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계획하는 것.
원재료가 투입되어 완성품이 될 때까지의 가공. 조립. 검사 등의 제반 공정 및 수순. 일정을 시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
작업이나 공사를 합리화하기 위해 그 수순을 분석하는 것.
공장 내에서 하는 용접으로, 현장 용접과 구별하여 사용하는 용어.
시공관리의 3요소가 되는 공정, 원가, 품질과의 사이에는 제각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 가운데 공정과 원가는 공정이 빠를 경우에난 한편 반대로 지연되는 경우에도 원가가 높게 되는데 중간에 원가가 최저에 이르는 공정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의 공기를 최상공기라고 한다.
데이터의 시간적변화와 규격치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쓰인다. 가로축에 샘플번호, 세로축에 특성치를 취하여 규격중심치와 상하한도에 대한 규격치를 나타내는 선을 긋고 데이터를 타점한 것이다. 공정능력도는 관리도와는 달리 통계적 방법으로 관리선을 긋지 않았으므로 공정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공사의 시공 순서를 일시 등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한 것. 횡선식 공정표(바 차트), 좌표식 공정표(누적 곡선식 공정표), 네트워크에 의한 공정표 등이 있다.
시공 계획에 따라 건축 공사의 각 부분 공사에 대해서 착공부터 완성까지의 작업량과 일정과의 관련을 표로 만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