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굴 하중이 작용하는 부재에서 하중이 서서히 증가하면 어느 한계에서 좌굴이 생긴다. 그 때의 하중. 좌굴 하중은 영 계수. 길이. 단면 형상 및 그 단부(端部)의 구속 상태에 의해 정해진다. 좌굴 하중을 구하는 식으로서는 오일러의 공식이나 랭킹의 공식 등이 있으나 세장비(細長比)가 큰 범위에서는 오일러의 공식에 의한 값과 실제가 잘 적합한다. - Euler's formula, slenderness ratio, Young's modulus
압축재가 좌굴할 때 그 변형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단면축을 말한다. 단면의 각축에 대한 좌굴 길이가 같은 경우는 단면 2차 모멘트가 최소인 축이 좌굴축이 된다. 그 축을 약축 (弱軸)이라고도 한다. - buckling length, geometrical moment
- simple turnout
강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향해 좌측의 강가를 좌안, 우측을 우안이라 한다.
forward welding
2차선 2방향 도로에서는 중앙선의 왼쪽에 있는 차선. 다차선 도로에서는 1방향의 교통이 이용할 수 있는 차선 중 좌측의 차선을 말한다.
등고선(等高線)을 간접적으로 그리는 방법의 하나. 측량 구역을 다수의 정4각형 또는 직4각형으로 나누어 각 만난점의 표고를 구하고, 그 값을 근거로 비례 계산 또는 그래프에 의해 등고선을 그린다.
직각 좌표로 표시된 도면. 주로 측량에 있어서의 기준점의 전개에 이용되며 트래버스의 골조도 등은 그것의 하나이다.
기둥의 최하부로, 기둥이 받는 힘을 기초로 전하는 부분. 주각의 구조 형식으로는 고정식과 핀식이 있다. 그림은 철골 구조의 주각을 나타낸 것이다.
항공기의 주각(主脚) 하나에 걸리는 하중. 항공기의 하중은 보통 2개의 주각과 기수 부근에 있는 보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착륙 장치를 통해 포장(鋪裝)에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보조각에는 항공기 총중량의 거의 10%가 걸리기 때문에 각 주각에는 총중량의 약 45%씩의 하중이 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