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19/1604)

세장비가 큰 부재가 압축력을 받을 때, 부재본래의 압축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크게 변형되는 현상을 말한다.
가늘고 긴 막대, 얇은 판 등을 압축하면 어느 하중에서 갑자기 가로 방향으로 휨을 발생하고, 이후 휨이 급격히 증대하는 현상.
온도 상승에 의해 레일이 팽창하고 그 축압력이 횡저항력보다 크게 되어 궤광이 가로 방향으로 급격히 부풀어 오르는 것. - tuack skeleton
좌굴이 생길 때의 구조물의 세기.
압축재의 설계 응력도를 구할 때 사용하는 계수. 보통 w로 나타내며 wfc/fk 여기서, fe : 허용 압축 응력도, fk : 허용 좌굴 응력도.
보통, 중심 압축재의 세장비(細長比) y와 좌굴 응력도 a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과 같은 곡선. 세장비가 큰 범위 즉 장주(長柱)에 대해서는 오일러의 이론 곡선과 실험 곡선은 일치하나, 세장비가 작은 범위, 즉 단주(短柱)에 대해서는 양자는 일치하지 않는다.
압축재의 설계식에서 사용하는 재료의 길이. 양단 핀 지지일 때의 좌굴을 기준으로 하고, 다른 지지 상태일 때는 좌굴 상황을 고려하여 재료의 길이를 수정한다. 부재의 실제 길이 ℓ에 대하여 lk로 나타낸다.
부재 혹은 구조물이 좌굴하여 뒤틀린 모양.
좌굴을 일으킬 때의 최소 하중을 받은 부재의 압축 응력.
처짐각법 공식의 휨 강성을 나타내는 계수는 엄밀하게는 축력의 함수이다. 공식을 써서 골조(뼈대)의 좌굴 강도를 계산하는 방법.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