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하는 일에서 모재와 용접봉이 녹아서 형성된 가늘고 긴 물결 모양의 띠 인데 용접한 후에 급하게 칠하기를 할 경우에 가스 버너를 사용하여 용접 비이드에 잇닿아 가열 할 필요가 있다. 가열방법은 용접봉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강판을 용접에 의해서 조립한 네모형의 단면.
단위 시간에 두어지는 비드의 길이.
직경 약 6mm 이하의 강선을 전기 용접하여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메시로 한 쇠그물. 콘크리트판이나 부재의 보강재로서 쓰인다. welded wire fabric
이음, 접합에서 하는 용접의 순서. 용접 이음의 구속도, 용접 변형, 용접 잔유 응력이 작아지는 순서를 선택한다.
주로 자동 및 반자동 용접에 쓰이는 코일 모양으로 감긴 가늘고 긴 금속선의 용접봉. 솔리드 와이어의 플럭스가 들어 있는 와이어가 있다.
쇠말뚝의 용접은 원칙으로 아크용접을 한다. 용접은 박기전에 말뚝을 지상에 가로 놓고 좋은 용접조건하에서 한다. 용접작업을 해서는 안될 기상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강우나 강설로 모재가 젖어 있을 때, 2) 풍속이 10m/sec 이상의 바람이 부는 외부, 3) 기온이 5℃ 이하의 경우에 예열하지 않는 경우 등이다.
용접 접합에 의한 부재의 이음. 강구조에 있어서 응력을 전달하는 이음은 맞대기 용접 이음과 필릿 용접 이음이다. 그루브의 형에 따라 I, V, X, K, J, U 및 H형 맞대기 용접 이음이 있다.
용접 부분을 용접 이음매라 하고, 용착 금속과 용융모재로 이루어진다.
용접공이 용접을 하는 경우의 용접부에 대한 자세로, 하향(아래 보기), 수평 보기. 상향(위 보기). 수직 보기의 네 가지 자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