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속의 야금적 접합법의 총칭으로, 융접(融接). 압접(壓接) 및 납땜으로 대별된다. 용접 접합은 일반적으로는 자재 및 가공 공수의 절약과, 성능과 수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쓰이며, 건축 뿐만 아니라 모든 금속 접합의 기본이 되는 기술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용접에는 압접. 융접. 납접(蠟接)이 있다. 압접은 접합부를 가열하여 유연하게 하고압력을 가해 접합시킨다. 철근의 이음에도 사용된다. 융접은 가스 또는 아크 등으로 접합부를 용융하여 접합시킨다. 일반적으로 강구조물 등에 사용된다. 납접은 융점이 낮은 금속을 용융 첨가하여 접합시킨다. 납땜, 브레이징(경납땜)에사용된다.
강판을 용접에 의해 조립한 H형의 단면.
강판을 용접에 의해 조립한 I형의 단면.
단속 용접에 있어서의 비드 중심간의 피치.
용접 접합으로 만든 강철제의 트러스교. 부재의 조립은 용접이지만 현장에서의 이음은 용접 시공이 곤란하기 때문에 리벳이나 고력 볼트 마찰 접합도 이용된다.
가늘고 긴 띠강을 관형으로 구부리고, 양쪽을 용접하여 만든 강관을 말한다. 스파이럴 모양으로 구부린 것을 연속 용접하는 것도 있다.
용접 접합부의 강도. 용접의 강도는 목 두께와 유효 길이 및 용접부의 허용 응력에 비례한다.
용접 부위의 양부에 대한 검사로 균열, 블로홀, 슬래그 함입, 오버랩, 언더킷, 비드의파형, 목 두께, 다리 길이, 보강 상태, 비드의 시종단(始終端), 모서리의 회전 용접 상황 등에 대하여 검사한다. 육안, 형상 측정, X선 투시, 초음파 탐상 등을 병용한다.
용접부에 생기는 결함의 총칭. 용접 균열, 기공(氣孔), 은점(銀點), 선상 파면 (線狀破面), 슬래그 및 형상 불량 등을 가리킨다. weld f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