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 재배에 필요한 수량. 다음 세 가지 경우로 구별된다. [1] 작물 자신이 생리적으로 필요로 하는 옆면 증발량. [2] 포장(圃場) 내에서 소비되는 물로서 옆면 증발량이 수면 또는 토괴면 증발, 침투량을 넘은 것이며, 순용수량이라 불리는 것. [3] 용수 계획상 넓은 지역에 대한 용수량으로, 이것은 순용수량에 송수 중의 손실량을 더한 것. 논의 용수량은 토성에 따라 큰 차이가 았으며 숙전의 평균 용수량은 15 ~ 20mm/일 내외이다. du
덮개 공사의 일에 있어서 용수의 처리는 이 공사의 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또 물을 막으려고 하면 그 수압도 외력으로 작용하므로 빨리 배수하는 것이 원칙이다.
용수철의 신축이 인장력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저울을 말한다. 강철 줄자의 장력 측정에 사용된다.
해양에서 물의 발산 때문에 하층의 물이 표면으로 올라오는 현상을 말한다. 용승류라고도 한다. 해면부근의 해수가 바람 등의 인력에 의해 어느 구역에서 사방으로 유출되었을 때 질량보존법칙에 의해 심층의 해수가 해면으로 올라온다. 용승은 대개 에크만수송에 의해 발생하며, 연안용승과 적도용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용융상태의 마그마가 화산의 분화구로부터 분출한 것 또는 그것이 냉각·응고된 암석을 말한다. 용암의 점성은 화학조성, 가스의 함량, 온도 및 결정화의 정도에 의해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온이며 가스함량이 클수록 점성은 낮으며, 이산화규소의 양이 많고 결정화가 진척되면 점성이 높아진다.
점성이 낮은 용암으로부터는 가스가 쉽게 발산하지만, 점성이 높은 용암에서는 기포가 잘 빠져나가지 못하고, 가스의 압력이 상당히 높아질 때까지 집적된다. 따라서 점성이 낮은 용암의 분출은 완만하지만, 점성이 높은 용암의 분출은 폭발적이 된다.
고온의 액상 암석 물질인 암장이 지표로 분출한 것. 대부분 분출할 때 휘발성 물질을 급격하게 방출하여 다공질로 된다.
지표로 분출한 암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형에 따라 흐르는 현상. 또는 그것이 냉각 고화한 띠 모양의 암괴. 규산 성분이 적은 용암은 유동성이 커서 멀리까지 흘러가서 굳어 줄모양의 용암이 되며, 규산 성분이 많은 것은 유동성이 적어 가까이에서 굳어 덩어리형의 용암이 된다.
용질이 용매에 용해된 액체로서, 두 종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 균일한 혼합물이다. 용매가 물이냐 아니냐에 따라 수용액과 비수용액으로, 용질이 전해질이냐 아니냐에 따라 전해질용액과 비전해질용액으로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