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858/1604)

[1] 대기 중의 염화물 이온(Cℓ-)의 침입에 의해 야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중의 철근의 부식. [2] 소금물의 침입이나 바닷바람의 염분 등에 의한 시설이나 농작물 등의 피해. 건축물에서는 강재의 부식이나 송전선의 단락 등이 있다. salt polution, salt damage
염분에 의해 콘크리트 속의 철근(강재)이 부식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콘크리트에 금이 가서 벗겨져 떨어지는 손상이 생기는 현상. 방치하면 구조물이 붕괴된다.
아세틸렌과 염화 수소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염화 비닐을 종합하여 만들어지는 수지. 경질과 연질이 있으며 내식성이 크다. 가장 보급되고 있는 수지.
상수도의 급수관에 주로 사용되며 내식성이 우수하고, 경량. 저가이며 가공이 용이하지만 충격. 열에 약하다. 열팽창 계수가 크기 때문에 콘크리트 속의 배관에는 적합하지 않다.
CaCℓ2의 무색의 결정. 시멘트의 수화 반응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급결제(急結劑), 경화 촉진제, 방동제(防凍劑)로서 사용된다. 쇠를 부식시키므로 무근 콘크리트에만 사용한다.
콘크리트를 비빌 때 콘크리트 속의 염화물 함유량은 현장 배합을 기초로 계산한 경우에 이들 각 재료에서 콘크리트 속에 들어 있다고 생각되는 염화물의 총량을 말한다. 굳은 콘크리트 속에 허용되는 염화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값을 기준으로 한다. [1] 일반 철근 콘크리트 및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속의 전염소 이온 중량을 0.60kg/m3이하. [2] 특히 내구성이 요구되는 철근 콘크리트나
해사(海砂) 약 1kg을 절건(絶乾) 상태로 하여 방랭(放冷)한 후 200g을 칭량(秤量)하고, 여기서 증류수 200mℓ를 가하여 해사 속의 염화물을 완전히 추출한다. 추출액 50mℓ에 크롬산 칼륨 용액(크롬산 칼륨 25g을 500mℓ의 증류수에 용해한 것)1mℓ를 가한 후, 0.1N질산은 용액으로 적정(適定)하고, 그 적정량(Cmℓ)에 의해 다음 식으로 해사 속의 이온 중량을 구한다. 몰법이라고 한다. 해사 속의 염소 이온 중량 (%) 0.0
녹색식물 잎의 세포 속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엽록소를 포함한 색소체로서 세포의 광합성 기관이다.
탄성 계수의 하나. 탄성 범위 내에서는 수직 응력도와 종변형도(縱變形度)는 정비례한다(훅의 법칙). 그 때의 비례 상수. 재료의 신장 또는 수축 변형에 대한 저항의 크기를 나타낸다. 종탄성 계수, 영률이라고도 한다. - modulus of elasticity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같이 복합 재료인 경우 각각의 재료의 영 계수의 비를 가정하여 응력 또는 단면 계산을 한다. 예를 들면 n Es/Ec Es : 강의 영 계수, Ec : 콘크리트의 영 계수. Es, Ec에 대해서는 규준에서 수치가 주어지고 있으나 관용의 수법으로서는 응력 계산의 경우는 n 10, 단면 산정인 경우는 n 15로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modular ratio - modulus of elasticity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