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가공법의 하나. 강재(鋼材) 등의 가열 가공에서는 가공 경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연속하여 가공할 수 있고, 치밀하고 균질안 조직으로 되며, 안정한 재질이 얻어진다. 냉간 가공에 비해 치수는 부정확하다. - cold working
열간에서 압연 제조된 강판.
열간에서 4변이 압연 제조된 장방형 단면의 강재. 표면의 일부에 요철(凹凸)이 있는 것도 있다.
열간에서 압연 제조되는 형강.
열을 가함으로써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고체로 되는 성질. 한 번 고화한 것은 재가열해도 용융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기권에서 고도 80km 이상의 기층이며, 기온은 높이와 함께 상승한다. 극광이 나타나는 기층이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열대지방 해양에서 무역풍과 남서 계절풍 사이에 발생하는 폭풍우를 수반하는 저기압이다. 열대성저기압은 발생되는 장소에 따라서 북태평양 남서부의 태풍, 멕시코만이나 서인도제도의 허리케인, 인도양이나 뱅골만의 싸이클론, 호주의 윌리윌리 등으로 불린다. 열대성저기압의 발생지는 해수의 온도가 28℃ 이상인 열대해양이며, 위도 5°이내의 적도 지역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 남태평양 동부나 남대서양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열대성저기압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고, 등압선은 원형에 가깝다. 또 열대성저기압은 좁은 지역(약1,500km)에 영향을 미치고 폭풍이나 호우에 의한 막대한 피해를 입히며, 통과 후는 평온한 날씨가 된다.
줄을 지은 모양으로 죽 늘어서 있는 섬들을 말하며, 격렬비열도, 쿠릴열도 등이 그 예이다.
물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 에너지의 양. 단위는 줄(J), 칼로리(cal), BTU 등이 쓰이며, 일율 와트 (W)를 쓰기도 한다.
이음의 형상이 좌우 동일하며 널말뚝의 끝을 열쇠형으로 구부린 것을 맞물리는 강널말뚝. 수밀성은 좋으나 이음의 여유가 너무 작기 때문에 타입(打入). 인발(引拔)이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