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분류학상 한 문으로서, 해양에서 가장 다양한 동물군으로 약 10만종의 현생종과 3만 5천여종의 화석종이 알려져 있으며, 일부의 담수산과 육상종을 제외한 대부분이 해양에 서식한다.
이들의 외부 형태는 매우 다양하지만 몸이 연하고, 보통 껍데기(조가비)로 덮여 있으며, 이동을 위한 넓고 편평한 근육질 발이 배 쪽에 있다.
사방 계획(砂防計劃) 에 있어서 평상 홍수량의 유출 토사(流出土砂)도 포함하여 평년 1년간에 유출하는 토사량.
1년간의 전 교통량을 그 해의 일수로 나눈 값. 1일당의 평균 교통량을 나타낸다. AADT
대양의 가장자리가 섬이나 반도 등에 의하여 대양과 불완전하게 구획된 해역을 말한다. 오호츠크해나 우리나라의 동해가 그 예이다.
대양 쪽으로 넓게 열려 있어도, 해면 밑에서는 해령 등으로 경계가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태평양의 서쪽 변두리·멕시코만 부근·대서양의 북서부 등에 많은데, 거의 같은 깊이와 수심, 평탄한 해저면, 주위의 급사면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주위의 대륙에서 나오는 퇴적물은 대체로 그 연변부에 공급되기 때문에 연해의 퇴적물은 일반적으로 두껍고 퇴적속도도 빠르다. 연해의 지각은 전형적인 대륙이나 해양의 지각과는 다른 점이 많은데, 이는 연해가 대륙성 지각이 해양성 지각으로 바뀌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전환하여 생긴 것이어서 전형적인 지각과는 발전단계가 다르거나, 해저 확대 등으로 새로 형성된 해역이기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AE제. 감수제 등의 혼합제에 의해 콘크리트 중에 혼입된 공기.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이나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키는 데 이용된다.
철도교에서 하나의 기관차에 끌려 동시에 이동되는 여러 대의 일련의 하중을 말하며, 등분포 하중으로서 취급한다.
아스팔트와 같은 고체 또는 반고체는 따뜻해지면 점점 물러져 마침내 흘러내린다. 이 변화는 서서히 진행되며, 얼음에서 물로 되는 것과 같은 뚜렷한 전위는 아니기 때문에 어떤 상태를 정하여 그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온도를 연화점이라 한다. 따라서 시험 방법에 따라 결과도 달라진다. 시험은 링 속에 시료를 채우고 그 한복판에 구(球)를 얹고 물 또는 글리세린 용액에 넣는다. 용액의 온도를 일정한 비율로 상승시켜 시료가 물러져서 아래로 늘어지고 구(球
바람이나 유수, 파랑 등의 작용으로 퇴적물이 주름잡힌 모양으로 된 것을 말하며, 보통 모래 등의 퇴적물에 많고, 파장은 약 10cm 내외이다. 바다에서는 천해에 많으나 최근에는 심해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열을 가함으로써 유동성을 갖게 되는 성질. 용융점보다 낮은 고온의 분해점 이하 온도까지의 가열 범위이면 가열 융해와 냉각고화를 반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