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체가 기준이 되는 면, 즉 기면과 평행으로 무한히 멀어지면 수평선상 한 점에 모이는데 이 점을 말한다. 투시도법에 의해 물체의 투시도를 그리는 경우에 이용된다.
대조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약 15일마다 달이 상현 또는 하현일 때 일어나는 조석의 간만차가 가장 작은 조석을 말한다. 조금이라고도 한다. 조차는 항상 일정하지 않고, 음력 한 달을 주기로 달의 위치에 따라 매일 조금씩 달라진다. 조차는 초승달과 보름달일 때 최대가 되고, 달이 하현 또는 상현일 때 최소가 되는데, 조차가 가장 작을 때가 소조이며, 가장 클 때가 대조이다. 조석은 주로 달에 의해 일어나지만, 태양으로부터도 영향을 받는다. 달과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서로 직각이 될 때 양쪽의 작용이 서로 상쇄되어 조차가 작아진다.
지구에 대해 태양과 달리 직각 방향으로 되었을 때(상현. 하현의 달), 지구의 조차(潮差)는 작다(所潮). 이 소조 때의 만조면의 평균. 기호 H. W. O. N. T.
소조 때의 간조 면의 평균. L. W. O. N. T.
소조평균고조면
조금 때의 조차를 다년간 평균한 것을 소조차라 한다. 소조차는 소조 때의 조차의 평균값으로서, 조화상수로부터 다음 공식 2(Hm-Hs)에 의하여 구해진다. 여기에서 Hm은 M2분조의 반조차, Hs는 S2분조의 반조차이다.
큰 지면의 측량에 비해서 한 변이 20km를 초과하지 않는 좁은 범위의 위치나 거리를 구하기 위한 측량을 소지측량 또는 평면측량이라 한다. 즉 땅 표면을 구면으로 보지않고 수평면으로 보는 방법인데 공사측량 등은 평면 측량이다.
볼트나 너트를 죄거나 풀 때 사용하는 공구.
소켓 이음이라고도 하며 주철관의 접속에 사용하는 이음.
수밀성, 내진성(耐震性)이 있고 신축 이음이 불필요하며 어느 정도 굽혀서 이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