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푸집에 쉽게 다져 넣을 수 있고, 거푸집을 제거하면 천천히 형상이 변하기는 하지만 허물어지거나 재료가 분리하거나 하는 일이 없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줄기가 가늘고 길며 잔가지가 많은 섶나무. 떡갈나무. 동백나무 등의 가지를 잘라 만든 것. 산허리. 호안. 수제(水制) 등이나 수방(水防), 산사태 방지 시설의 재료로서 사용된다.
울타리 섶나무 가지를 사용한 울타리로, 섶나무 가지 침상(沈床), 비탈면의 방호 울타리 등에 이용되고 있다. 잔 가지를 모두 제거한 길이 3.2m 이상, 직경 2 ~ 2.5cm 정도의 것을 2개씩 묶어 말뚝 나무로 짠다.
(1) 일반적으로 주택로에서 주택으로의 입구로 통하는 통로로, 주택의 대지를 잇는 구실을 하는 것. (2) 도시의 간선 가로에서 가구 내의 각 시설로 통하는 가로나, 보조 간선 도로의 일부 및 구획 가로를 총칭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스의 건축가 드키샤디스가 주장한 미래 도시의 이미지이다. 세계 각지의 도시는 점점 거대 도시화되어, 마침내 거대 도시 상호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거나 세계 도시를 구성하기에 이른다고 하는 것. 이 세계 도시는 현재 예상할 수 있는 도시화의 최종 단계로서 21세기 말까지 세계는 이 단계에 이르며 인구의 대부분은 도시에서 생활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경도 0°의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시각으로서, 그리니치시라고도 한다. 세계 각 지방시와 표준시는 이것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우리나라의 표준시는 세계시보다 9시간 앞서있다. 세계시는 일상생활에는 의미가 없고 천체관측의 기록과 같이 세계의 시각을 통일할 때 이용된다.
냇가나 강의 밑바닥이 물의 흐름 때문에 깊게 씻겨버린 것을 가리킨다. 세굴의 정도는 유속이나 흙의 입자에 따라 달라진다. 세굴을 방지하는데는 물흐름의 조절, 호안공사蝡 강밑바닥을 다지는 것 등이 있다.
하안(河岸)이나 강바닥이 유수(流水)에 의해 깎여 무너지는 것.
파도나 물의 흐름에 의해 물가 구조물의 지반이 깎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범포(帆布), 아스팔트 매트, 비닐 매트나 콘크리트 블록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