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643/1604)

설계 업무에 대하여 지불되는 보수. 넓은 뜻으로는 감리 업무에 대한 보수도 포함한다.
도로설계의 기준이 되는 자동차의 속도, 날씨가 좋아 차량의 주행조건이 도로의 구조적인 조건에만 지배될 경우 평균적 기량의 운전자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주행할 수 있는 속도를 말한다. 이것을 기준으로 해서 곡선 반지름이나 단면 경사 또는 시거 등의 선형요소의 기준이 정해진다.
구조물 또는 부재가 그 사용에 적합한 목적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상 고려하는 수명기간
내진 설계규준에 의한 설계콘크리트와 접하는 밑면 전단련(baseshear)의 적절한 분포에 해당되는 수평력
어떤 부재의 설계를 하기 위해 그 대표적인 단면에 생기고 있는 설계 응력을 채용하여 설계를 통일하는 일이 있다. 이런 경우의 응력값을 설계용 응력이라 한다. 보의 끝 부분. 중앙 기중의 끝 부분 등의 응력값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항만 및 해안구조물의 설계에 쓰이는 구조물에 가장 위험하게 작용하는 해수면의 높이로서, 조석이외에 폭풍해일, 지진해일 및 부진동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설계조위는 과거의 이상조위의 발생확률 곡선을 얻어 50년 또는 100년 등의 년수에 대한 조위를 산출하여 얻는다.
항만 및 해안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하는 파랑으로서, 항만설계의 경우 설계외력으로 50년 재현빈도의 유의파를 주로 사용한다. 설계파는 관측 또는 기상자료를 근거로 추산하여 파고와 주기를 결정하며 파향은 구조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취하며, 구조물의 사용목적·중요도·재료의 내구년한 등에 따라 달리 사용한다.
부재 설계시 적용하는 하중으로서, 강도설계법에 의할 때는 극한하중을 적용하고, 허용응력설계법에 의할 때는 사용하중을 적용한다.
이 시방서에서 규정한 계수에 의해 보정된 설계하중과 힘
이 시방서에서 규정한 설계하중과 힘과의 조합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