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궤도에서 방향이 다른 그밖의 궤도로 열차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분기기라 한다. 분파기는 전철기, 철차 및 리이드(lead) 부분으로 구성된다. 넓은 뜻으로는 크로싱(crossing)도 포함시킬 때가 있다. 선로를 분기할 경우에 한 선로의 방향만으로 분기하는 것을 편개분기(branch single swing)라 하고 쌍방선로의 방향으로 각각 분기하는 것을 양개분기(branch pairsswing)라고 한다.
1개의 선로를 2개로 나누어 열차나 차량이 다른 선로로 옮겨갈수 있도록 한 것. 전철기(轉轍器). 리드. 크로싱으로 되어 있다.
분기기의 분기선이 기준선으로부터 분기하는 각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 크로싱 번수로 나타낸다. - crossing number
선로의 노반토나 도상(道床)안의 토사가 우수 또는 지하수에 의해 진흙탕이 되어 도상 표면으로 분출하는 것. 분니에 의해 노반의 흙입자가 일부 유실되기 때문에 궤도의 침하가 생기거나 도상 안에 오니가 가득 차기 때문에 도상의 탄성이 없어져 궤도 이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분니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반토의 윗면을 모래나 석탄제로 바꾸거나 불투수성 층이나 배수관을 설치하지만 더럽혀진 도상은 교환할 필요가 있다.
반원형 또는 전원형(全圓形) 박판의 원주에 각도를 눈금 매긴 제도 용구. 셀룰로이드, 플라스틱, 강철제 등이 있다.
트래버스의 제도에 있어서 분도기를 사용하여 그리는 방법을 말한다. 분도기로 측선(測線)의 방향을 결정한다. 3간(三幹) 분도기. 전원(全圓) 분도기. 반원 분도기가 이용된다.
하나의 함을 이것과 똑같은 효과를 갖는 2개 이상의 방향이 다른 함으로 분해했을 때 분해된 힘. 분력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해서법과 도식 해법[힘의 평행 4사변형, 연력도(連力圖)의 이용 등]이 있다. 합력을 구하는 방법과 반대이다.
하나의 교통 흐름이 막힘없이 서서히 둘 이상의 교통 흐름으로 나누어지는 것.
주관(主管)에서 지관(枝管)으로 흐름이 분기해 가는 것, 또는 하수도나 배수 설비에서 오수와 빗물, 오수와 잡배수를 다른 관로로 배수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