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관에서 급수관을 분기할 때 도중에 부착하는 기구. 13 ~ 25mm의 3종류가 있으며, 각각 갑(甲)형과 을(乙)형이 있다.
신도시나 주택 단지 등에서 여러 구획으로 분할하여 매각되는 일단의 토지 또는 그 획지.
대장균군과 같은 정의에서 배양온도가 44℃로 높기 때문에 열저항성 대장균군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Escherichia 속과 그보다 낮은 범위로 존재하는 Citrobacter, Klebsiella, Enterobacter 의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생물 중 대장균만이 순수 분원성이며,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 조류의 분변에는 많은 수가 항상 존재하고, 분변으로 오염되지 않은 물이나 토양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대장균 이외의 내열성 대장균군은 산업폐수 혹은 부패한 식물 찌꺼기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의 물에서 기원한다. 분변오염의 지표로서는 대장균보다 신뢰도가 떨어지나, 대장균군에서 온혈동물의 장내온도를 배양함으로서 좀 더 특이성을 높이므로 대장균군보다는 분원성 오염에 더욱 가까운 지표미생물로 간주된다. 먹는물에서 분원성 대장균군이 검출, 동정되거나 추정시험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최근에 분변 오염이 되었다는 증거이므로 즉각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대장균군과 같은 정의에서 배양온도가 44℃로 높기 때문에 열저항성 대장균군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Escherichia 속과 그보다 낮은 범위로 존재하는 Citrobacter, Klebsiella, Enterobacter 의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생물 중 대장균만이 순수 분원성이며,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 조류의 분변에는 많은 수가 항상 존재하고, 분변으로 오염되지 않은 물이나 토양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대장균 이외의 내열성 대장균군은 산업폐수 혹은 부패한 식물 찌꺼기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의 물에서 기원한다. 분변오염의 지표로서는 대장균보다 신뢰도가 떨어지나, 대장균군에서 온혈동물의 장내온도를 배양함으로서 좀 더 특이성을 높이므로 대장균군보다는 분원성 오염에 더욱 가까운 지표미생물로 간주된다. 먹는물에서 분원성 대장균군이 검출, 동정되거나 추정시험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최근에 분변 오염이 되었다는 증거이므로 즉각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일조부등이 작을 때의 조석을 말하며, 춘분 또는 추분에 달의 적위가 적을 때 (달이 적도 부근에 있을 때) 나타난다. 분점조에서는 1일 2회의 고조·저조가 규칙적으로 거의 같은 높이로 일어나며, 봄·가을의 대조 및 여름·겨울의 소조가 이에 해당한다.
주위가 산지나 등으로 둘러싸여 주위 구역과 구별되는 평평한 지역을 말한다.
공기 중에 부유하는 입자상 물질의 총칭.
기체중에 부유하고 있는 미세한 입자상 물질을 말함. 호흡에 흡입하는 미입자는 흡입성분진, 또는 흡입가능입자 대기오염방지법에서는 분진이란 물건의 파쇠, 선별, 기타 기계적처리 또는 퇴적에 의해 발생하며 비산(飛散)물질로 규정되어 분진 발생시설의 구조 및 사용 관리에 관한 기준도 정해져 있다. 노동안전 위생법 및 분진장해방지 규칙에 있어서 노동자가 분진으로 진폐(塵肺)등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것은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자에 많은 규칙은 정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은 유리계산인산 분진이며 석면, 탄소, 활석 등이 있다. 석면은 별도로 특정화학물질 장해예방규칙에 규제되어 있다. 분진의 크기는 1ppm전후의 직경을 가진 것이 무제로 되어 있다. 작업환경 측정으로 측정되어 있는 분진은 7.07ppm이하의 입경의 것이 대상이 된다.
igneous rock
지상에 분출한 용암이 급냉 고화하여 생긴 화성암. 급냉되었기 때문에 유리질 또는 미세한 광물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부분(석기)과 생장한 광물 입자(반정)로 구성된다. 급히 감압되었으므로 휘발 성분이 기화한 기포를 다량으로 가지고 경석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석영 조면암, 안산암, 현무암 등 치밀한 것은 석재로서 잘 이용된다. 화산암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