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작용으로 단백질의 분해되는 현상을 일반에서 부패로 칭하나 식품위생의 영역에서는 식품이 미생물의 작용으로 그 관능적인 성상(性狀)에 변화를 받아 가식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부패라 한다. 부패는 주로 부패균(Pseudomonas. Achromobacter. Flavobacterium. Serratia. Proteuse, Bacillus. Clostridium)등 및 곰팡이, 효모(酵母)등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부패미생물은 대체로 혼재하여 작용을 나타낸다. 일반으로 가열 동결융해 등을 받은 식품은 생(生)식품에 비해 부패되기 쉬우나 이것은 식품의 단백질의 변성, 조직의 손상에 의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저 분자 화합물이 많이 포함되면 부패하기 쉽다. 부패로 인하여 부패 아민류가 생한다.
해상에서 암초 등 장애물의 존재나 항로를 표시하기 위해 해저에 고정되어 해수면에 떠 있는 항로 표지시설을 말하며, 부이라고도 한다. 부표는 어구·닻·해양관측장비 등 물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항로 표지의 하나. 해상에 띄운 표체(標體)와 해저에 정치한 침추(沈錘)를 체인으로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램프를 갖춘 것을 등부표(燈浮標), 갖추지 않은 것을 부표라 한다.
계선 부표에 의해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수역.
선박이 부표(브이)에 망을 씌워 정박하는 것으로, 단(單)부표박, 쌍(雙)부표박, 다(多)부표박이 있다.
수표생물 중 대기와 수중을 다 이용하여 사는 생물을 말하며, 해파리·물새·날치 등이 이에 속한다.
연약한 점토 지반의 터파기 작업을 할 때 시트 파일의 밑둥묻힘깊이가 얕으면 굴삭에 의한 지반의 고저차에서 생기는 토압 때문에 시트 파일 배후의 흙이 터파기측으로 돌아와 터파기밑을 밀어 올려 부풀어 오르는 현상. 흙막이 붕괴의 원인이 된다. rising
(1) 피크 부하와 그 기간 동안의 평균 부하와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보통 일(日)부하율, 주(週)부하율, 월(月)부하율 및 연(年)부하율이 발전(發電) 계획에 사용된다. 또 이 부하율에 의해 발전소의 설비 용량(kW)이 정해지며 동일한 전력량(kWh)에서도 부하율이 낮으면 큰 설비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 peak load (2) - plastic design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 중에서 일시적 또는 비교적 드물게 작용하는 하중. 부하중 또는 부하중과 주하중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허용 응력의 할증을 할 수 있다. - load
목재가 부패하는 것. 목재는 잘 건조되어 있는 경우 또는 항상 물 속에 잠겨 있을 경우에는 부패되기 힘들지만 때때로 물에 젖을 때에는 부패하기 쉽다. 방부법으로는 나목(裸木)으로 건조시키거나 크레오소트, 타르, 펜타클로로 페놀(PCP), 황산동 등을 도포 또는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