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나 반폐쇄형 만에서 갑작스런 교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상파로서, 수 분 또는 수 시간을 주기로 수면이 갑자기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부진동의 주기는 파장과 분지의 크기에 좌우되며, 부진동이 생기는 원인은 폭풍이나 강한 바람이 갑자기 정지해서 해파가 낮아지고, 그 물이 다시 평형을 이루려고 할 때 어떤 분지에서 장소에 따라 상당한 대기압 차가 있을 때 형성된다.
(1) 콘크리트와 철근 또는 PC강재 사이의 부착. 포스트텐셔닝에 있어서 그라우트를 주입했을 때 PC강재와 콘크리트와의 간접 부착도 포함한다. 콘크리트와 강재의 접촉에 주어진 힘을 접촉 면적으로 나눈 것을 부착 강도라 한다. (2) 건설 업자가 은행이나 손해 보험 회사에 의뢰하여 발행받는 입찰이나 계약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을 보증하는 보증 증서. 통상, 해외 공사에서는 발주자측으로부터 건설 업자에게 이 본드의 제출을 요구한다. 본드의 종류에는
부착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강도. - bond
항공기가 에이프런에서 활주로로 들어가지 위해 또는 활주로에서 에이프런쪽으로 탈출하기 위해 활주로에 부착된 유도로. 보통 활주로에 대해서 직각으로 부착된다. 항공기의활주로 점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여러 개가 설치되는 경우, 설치 위치는 항공기의 필요 착륙 거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 rapid exit taxiway
콘크리트 속에 매입된 철근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철근 표면과 콘크리트의 접착면에 생기는 응력. 부착 응력은 철근의 형상이나 콘크리트의 품질 등에 따라 다르다.
두 재(材)의 부착면에 작용하는 접선 응력.
우수구(雨水溝) 또는 오수구에서 하수관으로 접속하는 관.
수도교의 부착관이 굴곡 각도가 심하면 물에 의한 외향의 수압이 커져서 구조면에서 불안하므로 부득이한 경우 이외는 굴곡각을 45°이하로 해야만 한다.
외력으로 눌려 있지 않을 때의 흙과 다른 물질 사이의 전단 저항.
구조물에 부착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료로서, 종래에는 부착방해제로서 TBT가 함유된 선박도료가 사용되어 왔으나, TBT독성이 부착생물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 내의 다른 무척추동물에게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TBT의 사용을 선별적으로 제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