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를 흐르는 빗물이나 가정 배수 등을 받아 넣어, 배수구나 배수관에 접속시키기 위해 만든 홈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배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은 여기서 침전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 청소를 한다. 도로에서 이용하고 있는 배수조는 노면의 표면수가 유입하는 입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구(側構) 홈통과 연석(緣石) 홈통이 있다.
정수시설로는 하루 사이에 대체로 일정한 속도로 정수되고 있으나 수요측에서는 시간적으로 물의 소비는 일정하지 않다. 이 사이의 불균형을 조절하는 시설이다. 배수구역의 중심에 가까운 높은 곳에 설치한다.
사용 수량의 시간적 변화에 따르기 위하여 사용 수량이 적은 시간에 정수를 모아 두어 피크시에 원활한 급수를 하도록 급수량의 조절을 하는 연못. 유효 수심 3 ~ 6m, 유효 용량을 계획 1일 최대 급수량의 8 ~ 12시간분을 표준으로 하고 배수지에는 잔디 등으로 표면을 덮어 배수지 내의 온도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수도 시설의 일부. 시간적으로 일정하지 않은 수도 수요와 일정한 운전을 하고 있는 정수 시설이서의 정수량과의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 상수를 일시 저류하는 시설.
집중적으로 용수가 있을 경우는 배수공사를 한다. 측벽 하부에 설치하는 수발관은 용수의 유무에 불구하고 일정한 간격(약 5m) 마다 넣는다.
배수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소규모의 수도나 배수구역이 적은 곳이나 배수지를 만들 정도의 넓은 토지가 없는 경우에 설치한다. 위치나 높이와 구조 등은 한결같이 배수지에 준한다.
수도 사용량의 시간적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처리한 수돗물을 일단 저류(貯留)해 두는 못.
선체가 배수하는 물의 용량, 즉 선체가 물에 잠긴 부분의 용적과 같은 용적의 물 중량을 배수톤수라 하며, 주로 군함의 크기를 나타내는 톤수로 쓰인다. 배수톤수에는 하기만재흘수선으로 떠 있을 때의 선박 배수량인 만재배수톤수와 경하상태의 선박 배수량인 경하배수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