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 구획 내의 오수를 다음 펌프장이나 하수 처리장에 보내거나 빗물을 부근의 하천에 직접 방류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펌프장.
트럭에 발전기, 수중 펌프, 크레인 장치, 조명 장치 등을 갖춘 기계로서 태풍 등에 의한 재해시에 있어서 배수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함과 동시에 크레인 작업, 조명, 견인 작업 등을 할 수 있는 다용도의 재해 응급 작업차이다.
drain pipe
상수도에서 배수지. 배수탑 또는 배수 펌프장을 기점으로 하여 가정으로 가는 분수전에 이르는 관. 주철관. 강철관. 석면 시멘트관.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등이있다.
표면수 또는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도랑. 지표에 만드는 지표 배수구와 땅 속에 만드는 지하 배수구로 나뉜다. 지표 배수구에는 임시로 설치하는 소굴(素掘)배수구, 지반의 침식.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나 소일 시멘트로 만든 배수구, 프리캐스트의 철근 콘크리트, U형 원심 철근 콘크리트 반원관으로 만든 배수구 등이 있다. 지하 배수구는 지하수를 배제하여 지하 수위를 저하시키므로 지반의 강도나 안정성을 높일 때 설치한다.
하수도를 계획하는데 우선 계획, 배수구역을 정할 필요가 있다. 계획 배수구역이란 우수 및 오수를 없애는 시설의 정비를 필요로 하는 구역을 말한다. 다음에 그 구역을 1 또는 1이상의 배수계통으로 나눈다.
배수 펌프 혹은 하수 등에서 일정 시간에 배출되는 물의 양.
표층 또는 표층. 기층(基層)에 공극률이 15 ~ 25%정도인 개립도(開粒度) 타입의 혼합물을 써서 하층을 불투수층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빗물을 노견부(路肩部)에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하이드로 플레이닝 현상 등의 방지에 효과가 있다.
(1) 용수를 모으기 위해 굴착면보다 한 단 낮게 한 장소. 여기에서 외부로 배수된다. (2) 굴착면에 침투한 물이나 용수의 자연 배수가 불가능한 경우, 굴착면보다 한 단계 낮은 도랑으로, 용수 등을 이곳으로 유도하여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수한다. 집수통 배수는 가장 낮은 위치에 오도록 설계하여 쉽게 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 깊이는 0.6 ~ 1.0m 정도로 하고 크기는 유입 수량과 펌프 배수량이 밸런스를 이루도록 한다. 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