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철근의 위치. (2) 콘크리트의 단면에 대한 철근의 배치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나 축력 등에 허용 응력범위 안에 받아 들이도록 철근 단면적을 결정해서 배근을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 속의 철근의 직경, 치수, 위치 등을 나타낸 도면
갱내의 공기는 발파한 다음의 가스나 먼지 또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및 매연 혹은 일하는 사람의 호흡에서 나오는 공기와 자연발생하는 유독가스 등에 의해서 오염된다. 이 가운데 배기가스는 디이젤 기관의 사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가 문제된다.
(1) 갱도 막장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관을 통해서 갱밖으로 빨아내고 신선한 공기는 갱입구에서 터널 전체 길이를 통해서 막장에 도달하는 방식이다. 터널 중간부에서의 투시는 좋으나 막장의 작업환경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2) 터널 안의 종점에 갱구에서 갱밖의 신선한 공기를 오게 하는 방식이다. 막장의 환경은 좋아지는 반면에 오염된 공기는 터널 안을 걸쳐 이동 배출되므로 터널 중간부를 한눈에 보는 것이 나빠진다.
뉴우마틱 케이션의 침하를 촉진하는 방법이다. 케이슨의 침하에 대한 저항은 작업실의 기압에 의해 생기는 장압력이나 둘레면의 마찰력이며, 배기에 의해 작업실의 기압을 감압하면 저항이 줄어서 침하를 촉진하게 된다. 그러나 배기 침하는 급격한 침하를 일으킬수 있으므로 작업원을 대피시키고 신중히 해야 한다.
상수도의 송.배수관 속에 유입한 오니는 세월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축적한다. 이 배니를 목적으로 하여 관의 낮은 곳에 만든 밸브를 말한다. 배니. 배수를 겸하게 한다.
오니를 빼내는 관.
(1)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등에서 응력을 넓게 분포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2) 응력을 분포시킬 목적으로 정철근 또는 부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적인 철근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주근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일반의 슬래브에서는 긴쪽 방향에 해당한다. 주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직각 방향으로도 응력을 전하는 구실을 한다.
응력을 분포시킬 목적으로 대개의 경우 정철근 또는 부철근에 직각으로 배치한 철근을 배력철근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