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으로부터 취수구 부근에 쌓이는 토사를 흘려보내 송수로로 토사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문. 댐의 일부에 절결부를 만들며 간단한 것으로는 플래시 보드, 보통은 슬루스 게이트 등이다.
수세 변소로부터의 오수 또는 잡배수를 정화 처리하는 설비. 부패조, 산화조, 소독조로 이루어진다. 배설물만의 단독식과 집배수를 포함한 합병식이 있다. septic tank, wastewater purifier - night soil treatment
정수한 물을 배수지에서 각 사용자에게 보내는 것을 배수라고 한다. 배수시설은 배수지, 배수펌프장, 배수본관, 배수소관으로 형성되는데 배수방법은 자연유하와 가압식 및 양자를 병용한 배수지식 등이 있다.
빗물, 오수, 폐수 등을 배제하는 것. 옥내에서 설거지물, 오수 등의 불필요한 물을 배제하는 것을 옥내 배수(house drainage, building drainage)라 하고, 부지 내의 빗물을 배제하는 것을 구내 배수(yard drainage) 라 한다.
배수지. 배수탑 또는 배수 펌프장으로부터 급수 구역으로 물을 보내는 것.
상류(常流) 상태의 등류, 즉 한계 물매보다 완만한 물매를 가진 등류가 있다고 하자. 이 도중에 댐을 만들어 수면을 높이면 그 영향이 상류에 미치며 먼 곳에 최초의 등류에 가까운 수면이 생긴다. 이것을 언상(堰上)배수곡선이라 한다. 또한 이 등류의 도중에 물매를 증가하여 한계 물매를 증가하여 한계 물매 이상으로 하면 수면을 하강 물매 변화부에서 한계 수심으로 되고, 이 영향이 상류에 미쳐 먼 곳에 최초의 등류에 가까운 수면곡선이 생긴다. 이것을 저하 배
주로 사질 지반 속의 물을 제거함으로써 지반의 밀도를 증가하여 흙의 지지력을 높이는 공법.
지천에 있어서 본천의 고수위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로, 여기에 만드는 제방을 배수제 또는 역류제라 한다.
석축이나 옹벽에서 뒤쪽에 들어온 침투수를 배수하기 위해 뚫은 물빼기의 작은 구멍. 물을 빼서 옹벽에 걸리는 압력을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