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지형을 일정한 간격의 다수의 수평면으로 자른 경우, 이들 수평면과 지표면이 교차하는 선을 기준면상에 투영하여 만들어지는 선. 등고선의 중요한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동일 등고선상의 모든 점은 동일 높이를 갖는다. [2] 등고선이 도면 내에서 폐합(閉合)하는 경우 그 내부는 산정(山頂) 아니면 오목(凹)지이다. [3] 경사가 일정한 곳에서는 등고선 상호간의 거리가 같다. [4] 급경사에서는 완경사에 비해 등고선 상호간의 거리가 짧다.
인접한 등고선이 나타내는 표고의 차.
지형도는 점의 위치 외에 표고를 나타낸 것인데, 그 표현방법에 등고선에 의한 방법이 있다. 등고선은 투영기준면에 평행한 일정 간격의 다수면에 의한 지표의 단면을 기준면에 투영한 것으로서 평행면의 간격에 따라 지형의 정조를 구분할 수 있다.
주로 헐벗은 땅에서 등고선을 따라서 도랑을 만들어 사면에 내린 강우나 눈 등을 산허리에 체류 흡수시켜 초목의 생장을 가능케 하고 흙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이다. 도랑의 간격은 6∼12m를 표준으로 하고 간막이 흙둑을 만들며 그 둑 높이는 골쪽의 도랑둑보다 10cm 정도 낮게 한다.
등고선을 사용하여 지형을 표시하는 도법. 특징등고선의 모양과 도상(圖上)의 간격에 의해 지형의 특성을 정확히 수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현지에서 직접 수준 측량에 의해 일정한 등고선이 지나는 점을 구하고, 평판을 병용하여 그 위치를 측정한 후 도판상에 전개하여 등고선을 작성해 가는 방법. 좁은 면적이나 완만한 경사지의 대축척의 지형 측량에 적합하다. 등고선의 도면상의 측정 정밀도는 높다.
지진의 규모를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로, 진원 거리가 10km인 지점의 지진계에 기록된 최대 진폭을 미크론 단위로 측정한 값의 상용 대수값. 기호 M. 현재 지진계의 최대 진폭은 1cm라 하며, 1cm10mm10000미크론(1mm1000미크론). 1000010(4)log100004, M4.
일정한 사항을 법무 관계의 기관에 갖춘 등기부에 기재하여 사법(私法)상의 권리 또는 지위를 공시하고 보호하는 행위를 말한다. 부동산 등기 등이 있다.
항로표지 시설 중 광파표지의 하나로서, 야간에 등화로 선박에게 목표물을 제공하며, 항 입구의 방파제나 산·암초·섬 등에 설치한다.
항해시 이용 가능한 등대·무선표지국 등의 위치·성질·구조에 관한 사항을 게재하여 선박의 위치측정 및 선박안내를 위한 표로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