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322/1604)

육상의 골짜기가 지반의 침강 운동이나 해면의 상승에 의해 해면 이하로 침하하면 골짜기에 따라 후미를 만드는 만(灣)이 생긴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톱날 모양의 해안선을 침수 해안선이라 하며, 연안은 원래의 산지가 직접 바다로 다가가서 암석 해안으로 된다. 이와 같은 만 내에서는 파도나 해류의 흐름이 약하기 때문에 강의 퇴적 작용이 진행되어 만(灣) 안쪽부터 좁은 저지대가 형성된다.
(1) 육지를 수제선(水際線)으로부터 도랑형으로 파고 그 입구에 문과 급배수 장치를 만들어 그 속에 가로 방향으로 2열 또는 3열로 케이슨을 나열하여 제작하는 설비. (2) 육지를 파내어 작업장을 만들고 그 입구에 문을 만들어 수위를 조절하며 선박을 수리 또는 건조하는 작업장. 작업 중에는 독 체임버를 드라이로 두지만 선박의 출입시에는 해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주수하여 문을 열어 출입한다. 케이슨 야드로 쓰이는 것도 있다.
(1) 건물 주위를 파내려가서 한쪽에 옹벽을 설치한 도랑. 방습. 방수. 채광. 통풍에 유효하다. (2) 연간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적고, 수목이 자라지 않는 사막이나 초원의 지역을 말한다. 대체로 남북 양반구의 위도가 20 ~ 30°부근에 분포하고 있다.
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 (PC) 부재를 접합하는 경우, 현장치기의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의하지 않고, 볼트 체결이나 용접을 써서 일체화시키는 접합 방법. - wet joint
콘크리트면의 콘 볼트, 그라우트 주입 구멍, 균열 등으로 구멍의 깊이가 표면의 최소지름보다 깊은 경우의 수리에 또는 교량의 베어링 슈의 밑 등에 된반죽의 모르타르를 채워 넣는 방식, 모르타르는 1 : 2 ~ 3으로서 w/c 27% 정도의 배합이며 손으로 잡으면 손바닥에 약간 압력이 걸리는 정도로 한다. 채우는 위치의 콘크리트는 미리 물을 흡수시켜 표면이 약간 젖어 있는 상태로 하고, 전체면에 시멘트를 뿌린 후, 나무 망치와 막대로 조금씩 층으로
나사를 죄거나 풀 때 사용하는 공구.
경화 후의 콘크리트에 볼트나 특수못 등을 박아넣는 공구. 대형의 권총형을 하고 있다. 내부에 화약을 충전하고, 그 폭발력을 이용한다.
기성 말뚝의 타입(打入)에서 말뚝머리부를 보호하고 해머와 말뚝축을 일치시키는 동시에 타격력을 말뚝에 균등하게 전달시키기 위해 말뚝머리에 두는 캡. 영어로 파일 캡(pile cap)이라고 하는 경우는 말뚝머리의 푸팅을 가리킨다.
항로 등의 장대한 구역을 준설하는 배로, 선체 내에 이창(泥艙)을 갖는다. 자항식 펌프선이라고도 한다.
이고가 있는 자안펌프선인데 호퍼선이라고도 한다. 2∼3 노트의 속도로 자항해서 배토한다. 스스로 주행하는 준설작업은 배위치의 확인이 중요하다. 드래그 형식은 사이드 드래그형식, 선미드래그 형식, 센터드래그 형식이 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