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조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약 15일마다 달이 삭 또는 망일 때 일어나는 간만차가 가장 큰 조석을 말하며, 사리라고도 한다. 지구에서 보아 달과 태양이 같은 방향에 있을 때(삭)와 정반대 방향에 있을 때(망), 둘의 작용이 최대가 되어 사리가 된다. 바닷물의 운동은 달·태양의 인력 외에도 관성·지형·해저마찰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로 사리가 되는 것은 삭과 망 전후 1~2일의 차이가 생긴다.
어떤 기간 동안의 대조(大潮)시의 만조면의 평균 수위. 기호 H. W. O. S. T.
어떤 기간 동안의 대조(大潮 : 朔望)시의 간조면의 평균 수위. L. W. O. S. T.
매달 음력 보름과 그믐날의 조수(潮水)가 밀려오는 조수위(潮水位).
대조평균고조면
대조 때의 조차 평균값으로서, 조화상수로부터 2(Hm+Hs)의 공식에 의하여 구해진다. 여기에서 Hm은 M2분조의 반조차, Hs는 S2분조의 반조차이다.
대조 때 고조의 평균 조위를 말하며, 대조승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대조 때 저조의 평균조위는 대조평균저조면이라 한다.
대조평균고조면은 조화상수로부터 Zo+Hm+Hs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Zo는 기본수준면으로부터 평균해면까지의 높이, Hm은 M2분조의 반조차, Hs는 S2분조의 반조차이다.
생물들의 생식과 밀도는 보통 공간·영양염·에너지·동물에 의한 포식·사망 등에 의하여 제한된다. 짧은 기간 이들 제한요소들이 없을 때, 수적으로 폭발적인 증가가 가능한데 이를 대증식이라 한다.
좋은 예는 온대해역의 특색인 식물플랑크톤의 춘계대번식이다. 겨울에는 적은 빛 때문에 매우 낮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만 있을 뿐으로, 용존 무기영양염인 N·P·Si의 농도가 증가한다. 봄에는 충분한 영양염과 더불어 빛이 증가함으로써 규조류·편모조류 등 식물플랑크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온대해역에서는 연간 일차생산량의 50~75%가 3~4월의 춘계 대번식동안 생산된다. 또 다른 대증식의 예는 여름에 연안에서 예외적인 수온과 부영양화가 나타난 후에 편모조류의 대증식이 나타나는 적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