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사의 입찰시, 제시하는 걸계 도서의 대안을 인정하는 입찰 방식. 응찰자의 노하우나 특허 등을 유효하게 도입하기 위해 행하여진다.
대륙 사이에 있으면서 독립된 고유의 크기 및 해류를 가진 넓고 깊은 해양을 말한다. 대양은 기본적으로 태평양·대서양·인도양의 3대양을 기본으로 하지만, 북극해와 남극해를 추가하기도 하고, 남극해는 3대양과는 자연적 경계가 없어 북극해만 포함해 4대양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대륙주변부가 끝나는 부분부터 비교적 평탄하고 광대한 해저지형을 말한다. 평균 수심은 약 3천~6천m이며 전 해저의 70%를 차지하며, 연니 등의 심해퇴적물이 퇴적되어 있다.
대양저에서 높이 1~3km에 약 1,500km의 폭으로 6만km 이상의 길이를 가지면서 양쪽이 대칭적인 산맥으로서, 해저산맥 또는 해령이라고도 한다.
백색 잡음 등의 광대역 잡음에서 어느 주파수 범위의 성분만을 끊어낸 잡음.
상용(常用) 폐색 방식이 사고. 재해 등으로 고장이 난 경우 임시로 사용되는 폐색 방식. 통신석. 지도 통신식. 사령식(司令式). 통표식(通標式). 지도식 등이 있다.
대장균은 단일종의 세균으로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장내 우점을 이루는 통성혐기성세균으로 사람의 분변에 109/g 가량 분포하며, 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보다 분원성 오염에 대한 특이성이 가장 높아 분원성 오염지표로서 가장 신뢰도가 높다.
대장균은 보통 장내에서 서식하고 대부분이 비병원성이다. 그러나 몇몇 subtype은 다양한 기작에 의하여 장질환을 일으키며, 감염의 유형은 살모넬라, 이질, 콜레라, 위장염 등과 비슷하다. 장내병원성 subtype은 장내병원성(enteropathogenic), 장침투성(enteroinvasive), 장독성(enterotoxigenic), 장출혈성(verocutotoxin) 등의 4가지로 구분되며, O:157이 네 번째에 분류된다. 물의 대장균검사에는 생화학적 방법을 사용하는데, 병원성 대장균 균주는 구별이 되지 않는다.
대장균은 단일종의 세균으로 인간이나 온혈동물의 장내 우점을 이루는 통성혐기성세균으로 사람의 분변에 109/g 가량 분포하며, 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보다 분원성 오염에 대한 특이성이 가장 높아 분원성 오염지표로서 가장 신뢰도가 높다.
대장균은 보통 장내에서 서식하고 대부분이 비병원성이다. 그러나 몇몇 subtype은 다양한 기작에 의하여 장질환을 일으키며, 감염의 유형은 살모넬라, 이질, 콜레라, 위장염 등과 비슷하다. 장내병원성 subtype은 장내병원성(enteropathogenic), 장침투성(enteroinvasive), 장독성(enterotoxigenic), 장출혈성(verocutotoxin) 등의 4가지로 구분되며, O:157이 네 번째에 분류된다. 물의 대장균검사에는 생화학적 방법을 사용하는데, 병원성 대장균 균주는 구별이 되지 않는다.
수질 시험에서 세균학적 시험의 하나. 대장균은 장내에 있는 균이지만 대장균군은 대장균과 아주 흡사한 성질을 가진 세균의 총칭이다. 전염병 환자의 변속에는 병원균과 대장균군이 함께 있지만 대장균군이 있으면 항상 병원균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물 속의 병원균을 직접 검사하는 것은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검출이 용이한 대장균군을 조사하여 만약 대장균군이 있으면 병원균으로 오염되었다는 의심이 있는 것으로 본다.
트러스의 경사재 등과 같이 교번 응력을 받는 경우에 인장력만을 받는 경우에 인장력만을 부담하도록 메인 트러스의 경사재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는 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