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225/1604)

널말뚝을 서로 물게 하여 연속적으로 박아 흙막이벽 또는 지수벽으로서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공법. 영구 구조물 --- 안벽, 호안, 방파제 널말뚝 공사 --- 도류제 가설 구조물 --- 굴삭토 막이, 산사태 막이, 기체 절공, 가설 구조, 가축제
도수제(導水堤) 등에 사용되는 제방. 다른 구조의 제방에 비하여 단면을 크게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강널말뚝 또는 철근 콘크리트 널말뚝 등을 두 줄로 박고 그 사이에 토사, 깬돌 등을 채운다.
널말뚝을 박아서 흙막이를 하고 토사, 지반을 굴착하는 것.
터널의 지보공은 지보공 본체만으로는 원지반을 완전히 지탱할 수 없어서 낙석이나 토사의 붕괴 등이 일어나기 때문에 두께 3∼5cm의 소나무 널말뚝을 지보공과 원지반 사이에 삽입해서 흙막이를 한다. 원지반이 암석 등으로서 지보공의 작업 중에 대단한 지압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보공이 끝난 후에 널말뚝을 삽입한다. 지질이 나빠서 지보공을 끝낼 때까지 큰 지압이 작용하거나 원지반이 붕괴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말뚝의 선단을 날카롭게 해서 원지반에 박아
흙막이 또는 물막이 등에 쓰이는 연결이 가능한 판상의 말뚝이다. 나무, 철근콘크리트, 프레스트레스 콘크리트(prestress concrete), 가압콘크리트 강철 등이 있는데 강철말뚝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굴착 깊이가 얕은 경우 버팀목이나 앵커를 설치하지 않고 널말뚝벽만의 흙막이벽을 써서 굴착하는 간이한 공법. sheet pi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널말뚝을 소요 수심 이하 상당한 깊이까지 박아 벽면으로 만들고, 그 상부에 타이 로드를 부착하여 버팀판과 연결하며, 이 버팀판과 널말뚝의 뿌리부분(소요 수심 이하의 널말뚝 부분)에 작용하는 수동 토압으로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타이 로드의 대용으로 경사 말뚝을 사용하는 경우, 경사 버팀 말뚝식이라 하며, 또 타이 로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립(自立) 널말뚝식이라 한다. 또한 강 널말뚝을 2열로 박고, 두부(頭部)를 타이 로드
널결재로 수심(樹心)에 가까운 쪽의 면. 널대기인 경우 보통 널거죽을 표면측으로, 널안을 이면측으로 하여 시공한다.
판의 원목(통나무)일 때 수심(樹心)에 가까운 쪽을 널안이라 한다. heart-side
용기 또는 둑에서 물이 넘쳐서 흘러나가는 것.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