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을 720℃(재결정 온도) 이하로 가공하는 방법. 이 가공법에서는 강철의 조직은 치밀하나, 가공도가 진행할수록 내부에 변형을 일으켜 점성을 감소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 200 ~ 300℃ 부근에서는 청열 취성(靑熱脆性)으로 되므로 가공을 피한다. 경량 형강 등은 이 방법에 의해서 성형된다. - hot working, light guage steel
열간 가공된 이형 봉강을 저온(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인장하거나 비틀어서(냉간 가공) 경도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 것. 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이 줄어 깨지기 쉽게 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강선의 제조법에 의한 명칭. 냉간 압연 강선은 냉간에서 롤을 사용하여 수회에 걸쳐 압연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가공한 것이며, 냉간 인발 강선은 냉간에서 수회에 걸쳐 다이스를 사용, 인발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만든 거스로, 어느 것이나 소재는 고탄 소강이다.
알루미늄과 같은 금 속의 접합 표면을 완전히 깨끗하게 하여 맞추고 특수한 장치 속에서 압력을 가하여 상온에서 하는 용접.
육류·생선처럼 냉동상태를 요구하는 화물의 수송을 위해 설계된 선박으로 화물의 적정온도를 유지한다.
주변 수온보다 5℃이상 낮은 수온의 해역을 말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동해남부 연안에서 7~8월경 출현한다. 냉수대는 보통 연안해역에서 저층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용승 때문에 나타난다.
온수성어류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15℃ 이하의 수온에서 서식하기에 적합한 어류로 연어·송어·다랑어·청어 등이 대표적이다.
점용접기로 점용접한 용접부를 말한다.
non uniform rational B-spline 의 약어. 2차 곡면(2차 함수로 표현할 수 있는 면 : 구슬, 원뿔 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등 자유 곡면 표현을 하기 위한 수법으로, 현재 표준으로 되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