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과 지반의 동적 상호 작용 효과의 하나. 강성(剛性)이 높은 기초가 지반의 운동을 구속하는 효과. 지진 입력의 변화가 생긴다.
모형 시험에서의 상사성 중 실물과 모형의 형상에 관한 상사.
선박이 항해하면서 들르게 되는 항구를 말한다. 정기선 항로에서는 스케줄에 의해 기항지가 미리 정해지지만 부정기 항로에서는 필요할 때마다 어느 항구라도 들를 수 있다.
가솔린 엔진으로는 가솔린과 공기의 혼합기체에 착화해서 연소시키므로 혼합장치가 필요하다. 이 가솔린과 공기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그에 대한 적량을 실린더에 보내는 장치를 기화기라고 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증을 잘 일으키지 않으면서 면역 기능이 감소된 사람에게는 심각한 감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함. 즉, 기회를 보아 감염증을 일으킨다는 의미. 2차 감염 이라는 말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함.
각각의 토지에 고유의, 정상적인 상탱 있어서의 대기 현상을 종합해서 말한다. 즉 기후는 1년을 통해서 매일의 일기 추이로 대기 현상(한난, 강우, 바람, 습도 기타)은 매년 같지는 않지만 오랜 세월을 통해서 보면 대체로 그 토지 고유의 게절의 추이, 특징이 있다. 이러한 오랜 세월에 걸쳐서 평균적으로 반복되는 그 토지의 대기 현상의 종합 상태를 말한다.
어느 토지의 기온, 강우, 습도 외에 풍속, 풍향 기타의 기후 요소를 표시한 그래프. 이 도표에서 그 토지의 기후나 체감도를 대체로 알 수 있다. 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외에 그리모그래프, hythergraph(월평균 기온과 강우량을 직교축상에 플롯하여 그린 다각형도), thermograh(원주상에 1년의 월일을 매기고,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평균 기온을 취한 극도형) 등이 있다.
미습관의 기후에 대한 생물의 순응을 말한다. 인간이 지금까지 살고 있던 토지에서 기후가 다른 곳으로 이주하면 인체 기능은 그에 순응하여 그 토지의 기후에 익숙해진다. 기후 순응에 따라서 그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던 기후에 대한 지적도(至適度)가 변화한다. 기후 훈화, 풍토 순응이라고도 한다
기후 요소의 지리적 분포를 지배하는 원인이 되는 것. 주요 인자는 위도, 해발, 수륙 분포, 해안 거리, 위치, 지형, 해류 등이 있다. 이들 기후 인자와 기후 요수가 여러 가지로 조합되어서 해양, 대륙, 산악, 고산 등의 대기후형이 이루어지고, 소기후에서는 약간의 기후 인자의 차가 문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