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이나 조류를 일으키는 힘을 말하며, 지구와 천체(주로 달, 태양)간의 인력에서 지구 자체의 원심력을 뺀 차이 값이다. 기조력은 지구와 천체가 어떻게 평형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며, 지구 표면의 각 점에서 다르다. 기조력은 조석을 일으키는 천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지구와 천체간 거리의 3제곱에 반비례한다. 태양의 기조력은 지구로부터 거리가 멀어 달에 의한 기조력의 약 0.46배이다.
교통 조사 수법의 하나. 교통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분명하게 하는 교통량 조사로, OD 조사라 한다. 조사 대상 지역을 미래의 데이터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각의 구획 상호간의 교통량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제의 조사는 통행 중인 차를 정지시켜 운행자에게 질문하는 방법, 자동차의 소유자를 방문 또는 조사표의 우송에 의한 방법으로 조사하고 구획의 조합별 집계를 한다.
각 부재의 강도(剛度) 중 한 부재의 강도를 기준으로하여 다른 부재의 강도를 나타낸 값을 각각 기준으로 한 부재에 대한 강비(剛比, k)라 한다. 이 때 기준으로 한 부재의 강도를 기준 강도(k0)라 한다.
(1) 재료 강도. 허용 응력도의 기준이 되는 값으로, 보통 F값으로 나타낸다. 재료마다 정해져 있다. (2) KS규격으로 정해지고 있는 재료의 강도. 재료 강도. 허용 응력도의 기준이 되는 F값은 규격 강도를 참고로 하여 정해지고 있다.
어떤 물리량이 면적에 따라 변화할 때 그 가늠을 주는 기준으로서 설정하는 면적.
흙의 다짐 관리(밀도 관리)를 할 때의 기준으로 하는 밀도.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현장 전압기(轉壓機)와 동등한 에너지로 흙을 다져 산정한다. D값 관리인 경우 : 실내 시험에 있어서의 최대 건조 밀도를 기준 밀도로 한다. 필 댐. 도로 등 중요 구조물에 쓰인다. C값 관리인 경우 : 실내 시험에 있어서의 자연 함수비 상태의 건조 밀도를 기준 밀도로 한다. 함수비 저하가 어려운 점성토에 대하여 쓰이는 경우가 많다.
포장 공사를 하는 경우 사용 재료나 기계를 쓸 수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 혼합물의 배합을 결정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준이 되는 수치를 얻는 것, 또 시험 시공에 의한 작업 표준의 설정 등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