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자오선(경선). 이 기준 자오선의 동쪽을 동경, 서쪽을 서경이라 하며, 각 지점의 자오선은 기준 자오선과 이루는 각 θ로 동경 몇 도, 서경 몇 도로 표시한다.
원자로 시설의 내진 설계에 사용하는 지진동. 그 세기의 정도에 따라 S1, S2의 2종이 있으며, 부지의 개방 기반 표면으로 정의된다.
진동계의 고유 함수로 나타내어지는 진동의 분포형, 고유 모드라고도 한다. 전단형의 질점계 모델에서는 질점의 수만큼 존재한다.
수력 발전소의 개발 계획에 있어서 동일한 능력을 갖는 화력 발전소를 건설했다고 가정하고 양자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계산의 편의상 평균적인 화력 발전소를 가정하고 그것을 기준 화력이라 한다. 수력 지점의 경제 평가 : 수력 발전의 개발 계획을 작성함에 있어서는 개별 지점의 최적 계획을 얻음과 동시에 이렇게 하여 얻어진 몇 개의 지점을 비교하여 가장 경제적인 계획을 수립한다고 하는 순서를 따르고 있다. 수력 지점의 경제성 평가에는 다음과
조석이나 조류를 관측한 결과를 기초로 조화상수를 구해 조위 및 조류를 예보하는 관측소로서 주변지점의 조석이나 조류예보의 표준이 되는 관측소를 말한다.
다른 사항을 결정할 때의 기준, 원칙으로 되는 생각, 치수 체계 등을 나타낸 그림.
높이를 잴 때의 기준으로 선정한 수평면을 말한다. 공식적인 측량에서는 仁川忒 조위의 수준원점을 기준해서 정밀한 수준측량에 의해서 높이를 정한 기준면상의 점에 대한 수준점을 사용한다. 수준점은 국도나 市郡도로에 잇닿아서(1등급은 4km, 2등급은 2km마다)설치되어 있는데 B.M라 한다.
치수의 지시. 조정시에 기준이 되는 면.
고저 측량에서 지표 높이의 기준을 지하에 가정하고(기준선이라 한다) 지표 종단면에 나타나튼 각 지점의 높이을 산출한다. 지하에 가상면을 생각한 경우는 기준면 또는 기본 수준면(datum plane)이라 한다. datum reference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