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단부를 양질 지반에 정착시키고 이것을 반력으로 하여 흙막이벽의 지지용 혹은 건물의 부상,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체. 인장재로서 강봉을 사용하는 경우, 앵커 로드라 한다. tie-back
토지의 표면이나 콘크리트 벽면을 덮기 위해 식재(植栽)되는 식물의 총칭.
지반상에 두어진 무질량(無質量)의 강(剛) 기초가 단위 크기의 정상적인 정현파의 외란을 받았을 때의 운동을 복소수로 나타낸 것.
레미콘차 등에서 콘크리트를 일시적으로 받아 카트 등에 공급하는 강철제 용기.
제방체의 대부분에 자갈재를 사용하여 돋아서 축제하는 댐. - fill dam
입갱(立坑)을 굴착할 때 깎아낸 흙 따위를 집어내는 기계로, 실린더에 의해 집개를 개폐하여 흙 따위를 집어 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짐을 잡는 장치. 단지 그래브라고도 한다.
하상(河床)이나 해저의 토사를 굴착하기 위한 작업선의 일종. 대체로 비항해식 선박이며 파워 셔블(power shovel)의 상부 선회체처럼 360°선회 가능한 윈치 기구를 갖는다. 붐 끝에 그래브를 매달아 낙하시켜 물 밑의 토사를 굴착한다. 그래브의 날은 형태에 따라 플레이트. 그래브. 하프타인. 홀타인으로 분류된다. 견고한 지반 또는 돌을 준설하는데 홀 타인이 적당하고 연질의 흙에는 하프 타인이 좋다. 그래브의 크기에 따라 Y, A, B, C
그래브 바께쓰(grab bucket)로 해저나 하저의 토사를 집어 올리는 것을 그래브선이라고 한다. 그랩준설선, 프리스트매선이라고도 한다. 자항식과 비항식이 있는데 심도에는 제약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으나 준설능력은 그다지 대단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