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표면의 폭발에 의해 우주공간으로부터 날아온 전기를 띤 입자가 지구자기 변화에 의해 극지방 부분의 고도 100~500km 상공에서 대기 중 산소분자와 충돌해서 생기는 방전현상이다. 극광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곳은 보통 지구자기의 북극을 중심으로 반지름 약 20~25°부근의 지대이다. 오로라는 빛깔이 붉고 먼 곳에서 불이 난 것처럼 보인다.
위도 66.5°이상의 고위도 지역으로서, 북위 66.5°·남위 66.5°이상의 지역을 각각 북극권·남극권이라 한다. 지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에 대해 23°27′기울어져 있어 북극권에서는 하지에는 온종일 태양이 지평선 밑으로 지지 않으나, 남극권에서는 태양이 온종일 지평선 위로 떠오르지 않는다. 동지에는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연력도(連力圖)를 그릴 때 시력도(示力圖) 밖에 선택한 극과 시력도의 각 정점을 연결한 선분.
구면(球面)상의 도형을 극사영으로 평면에 2차원한 그림.
불안정한 군집이 천이에 의해 식물조성이 변화하여 최후로 가장 잘 적응한 식물종이 우점종이 되고 안정한 군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상태를 극상이라 하며, 주로 식물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다.
어떤 입지에서 어떤 식물 군락이 장기간에 걸쳐 세대 교체를 도모하면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물 군락의 천이의 최종적인 모습을 말한다. 대부분의 경우는 고목으로 이루어지는 삼림에서 기후에 의해서만 성립하고 있다고 하는 단극상설(單極相設), 기후 외에 토양이나 지형 조건에 의해서도 성립한다고 하는 다극상설이 있다.
종래의 탱크형 유압 차단기보다 소형 경량의 것으로, 소호 매질인 절연유가 적게 들어 화재의 위험이 없다.
투영면이 지축과 직교하는 경우의 방위 도법. 경선(經線)은 극에서 방사상으로 나오는 직선이 되고 위선(緯線)은 극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된다.
탄소 함유량 0.15% 이하의 강. 인장 강도 40kg /mm2 이하, 신장 25% 이상. 박철판. 철선. 리벳 등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