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의 이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개별 지점의 이상량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어떤 구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가 필요하다. 개별 지점의 궤도 이상의 분포가 정규 분포인 성질을 이용하여 보통, ±3mm를 넘는 이상이 전체에 대해 몇% 존재하는가를 계산하여 이것을 궤도 이상 지수라 한다. 이 수치의 크기에 따라 보선구별(保線區別), 선구(線區)마다의 궤도 상태의 좋고 나쁨의 판단이 행해진다.
병렬하여 부설되어 있는 두 궤도 중심선간의 거리. 이것은 진동 등에 의한 궤도상에서의 상호의 차량 접촉을 피하는 동시에 보선 작업이나 대피에 필요한 궤도 중심선간의 거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재래선의 직선 구간에서는 3,800mm 이상, 3선 이상의 경우는 인접하는 하나는 4,500mm 이상으로 한다.
레일과 침목 또는 타이 플레이트와 침목 사이에 삽입하는 고무, 비닐제 등의 판. 궤도 패드에는 단순히 패킹재의 역할만을 하는 것과 고무 등의 탄성을 이용하여 레일로부터 침목으로 전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 있다.
게이지의 중앙부에 기포와 눈금판이 붙어 있는 측정기. 좌우 레일의 수준 및 캔트량의 측정에 사용한다.
열차가 주행함에 따라 윤중, 횡력, 충격, 온도변화 등으로 인한 축력에 의해서 궤도를 횡성하는 부재가 파괴 또는 부재간에 틀림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협의적으로는 열차하중과 열차주행에 따른 진동의 상승작용으로 도상이 池緩되거나 침하를 일으켜 열차의 주행로가 점진적으로 고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할 때도 있다.
전기회로의 일부에 레일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열차 또는 차륜에 의해서 궤도계전기를 제어하는 것 혹은 열차에 대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연속궤도회로, 폐전로식 궤도회로, 궤전로식 궤도 회로 등이 있다.
orbit
동물이 자신의 서식장소나 산란·육아 등을 하던 곳에서 멀리 떨어져 서식하다가 다시 그곳으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말하며, 회귀본능이라고도 한다. 연어나 송어는 해양에서 생활하다가 산란을 위하여 귀소본능에 의해 자신이 태어난 강으로 돌아온다.
- eccentric observation
해외로부터 다른 물건에 섞여서, 혹은 관상용으로 도입된 식물로, 각지에 정착하여 번식하고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