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570/1604)

구조 부재에 하중이 작용하여 휨 파괴에 의해 종국 상태가 되었을 때의 강도. 통상, 최대 휨 강도를 가리킨다.
부재가 재축(材軸) 방향으로 압축 하중을 받는 경우, 하중이 한계 하중에 이르렀을 때 급격히 만곡이 시작되는 불안정 현상.
주로 막대의 휨 변형에 있어서 생기는 진동. 가늘고 긴 막대가 횡력(橫力)을 받을 때 휨 변형이 지배적이면 이와 같은 막대는 횡력에 의해 휨 진동을 일으킨다. 이에 비해 굵고 짧은 막대에서 횡력에 대하여 전단 변형이 지배적이면 전단 진동이 생긴다.
부재가 휨 응력에 의해 파괴하는 것. binding failure
휨 모멘트를 받는 부재가 재(材)의 인장측에서 파괴하든가, 또는 압축측에서 압괴(壓壞)하든가 하여 파괴하는 것. 골조의 파괴형으로서는 끈기가 있는 파괴형으로, 전단 파괴와 대비하여 쓰인다.
모멘트를 단면 계수로 제외한 값.
부재가 휨 모멘트를 받아서 항복 현상을 일으키는 것.
부재의 휨 항복이 그 부재의 다른 파괴에 선행하는 것. 보통, 휨 강도가 전단 강도, 부착 강도 등 보다 낮을 때 생긴다.
소형이고 운반이 용이한 용접기.
주위 환경이 나빠질 때나 생활사의 한 시기 중에 운동성을 잃어버리고 세포막의 표면에 강한 막을 형성하여 휴면상태가 되는 포자를 말한다. 휴면포자는 일정기간을 휴면상태로 보낸 후 환경요인의 변동에 따라 발아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