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포장을 할 경우에 초기 양생에 연달아 콘크리트의 경화를 충분히 하기 위한 양생을 후기 양생이라 한다. 수분의 증발방지, 햇빛의 직사나 바람 등에 의한 건조방지를 위해 거적양생 시이트 또는 삼베자루 등을 포장 표면에 펴서 알맞은 습도를 유지하여 현장 양생공시체의 휨강도가 35kg/cm2 이상이 될 때까지 양생한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콘크리트의 경화를 충분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분의 증발, 급격한 온도 변화 등이 생기지 않도록 초기 양생한 다음 이어서 일정 기간 습윤 상태로 유지하는 양생.
테일 클리어런스(후미 내면과 세그먼트 외면과의 간격), 테일 스킨 플레이트 두께 및 여굴(餘掘) 등에 의해 실드 굴진에 따라 세그먼트 외면과 지반간에 생기는 공극.
평판 측량에서 기지점에는 평판을 설치하지 않고 미지점에만 평판을 설치하여 그 미지점의 위치를 평판상에 결정하는 방법으로, 레만의 방법(Sehmann's method), 투사지를 이용하는 방법(트레이싱 페이퍼법), 베셀의 방법(Bessel's method)이 있다. 앞의 두 가지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backward intersection - method of intersection and resection, Lehnam's me
- coast, beach
back sight
수준 측량에서 표고기지점에 세운 표척의 판독. 일반적으로 B.S.라는 기호로 표시한다.
콘크리트 제품의 촉진 양생에서 탈형(脫型)하고부터 공장 출하까지의 양생을 말한다. 습윤 양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용접부의 금랭 경화의 방지, 수소의 방출, 내부 응력의 제거나 경감을 위해 용접 후에 가스 불꽃, 가열로 등에 의해 가열하는 것.
(1) 대규모 재해에서 그 재해가 끝난 다음에 일어나는 도시의 기능 장해나 경제적인 장해. (2) 대규모 재해에서 재해 현상이 끝난 다음에도 도시적 기능이 회복하지 않기 때문에 전염병이 발생하거나 경제적 타격이 심각화해 가는 등의 현상.